대웅제약 ‘펙수클루의 밤’ 심포지엄에 마이클 배지 교수(왼쪽부터), 호세 마리아 레메스 트로체 교수, 아놀드 리켈메 교수, 김도훈 교수가 참석했다. /사진=대웅제약


대웅제약이 세계 최대 규모 학술행사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의 최신 연구 데이터 및 우수성을 전 세계 의료진에 알렸다.


대웅제약은 세계 최대 소화기 학술행사인 '2025 소화기질환 주간(DDW)'에서 펙수클루 학술 부스 운영과 '펙수클루의 밤'(Fexuclue Reception Night) 심포지엄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3(현지시각)일부터 6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DDW는 매년 전 세계 의사, 연구자, 업계 관계자 등이 참석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소화기 국제 학회다. 대웅제약이 마련한 학술 부스와 심포지엄에서는 펙수클루의 최신 지견과 핵심 연구 성과가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대웅제약은 펙수클루 부스에서 전 세계 의료진을 대상으로 펙수클루의 특장점인 빠른 약효 발현, 신속하고 우수한 주야간 증상 개선, 식사 여부와 관계 없이 1일 1회 복용으로 높은 편의성 등을 소개했다.

올해 DDW 기간 동안 대웅제약은 펙수클루와 관련한 총 5건의 신규 데이터를 발표하며 국내 P-CAB 계열 치료제로서는 가장 많은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신규 연구로는 ▲NSAIDs 유발 소화성궤양 예방 효과 입증 연구 ▲인도 환자 대상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EE) 치료에 대한 3상 연구 ▲알츠하이머 관련 저위험 기전 연구 ▲야간 위산 분비 증상 개선 평가 연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pylori) 유래 위염 모델에서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연구가 소개됐다.


지난 4일 열린 '펙수클루의 밤' 심포지엄에는 총 100여명의 국내외 의료진이 참석했다. 마이클 배지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메디컬센터 소화기내과 교수, 김도훈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아놀드 리켈메 칠레 교황청 가톨릭의대 소화기내과 교수, 호세 마리아 레메스 트로체 멕시코 베라크루스대학교 의생명과학연구소장이 연자로 나섰다.

배지 교수는 "(위식도역류질환 관련) PPI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약물로 P-CAB이 등장했으며 그 중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펙수클루가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펙수클루가) 위식도역류질환 증상을 빠르게 개선 및 완화시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면서 펙수클루의 특징으로 긴 반감기와 빠르고 강력한 증상 억제 등을 강조했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치료 현장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효과적인 옵션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펙수클루는 지난달 세계 항궤양제 4위 시장 인도에서 국산 P-CAB으로는 최초로 출시됐다. 이어 파나마에서 품목허가 승인을 받아 해외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펙수클루는 총 30개국에 진출했고 이 중 한국을 비롯해 6개국에서 판매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