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이앤씨가 국내 석유화학 업계 사상 최대 규모 투자인 에쓰오일의 샤힌 프로젝트 건설 현장에 PAR 모듈을 설치했다. 샤힌 프로젝트 대형 모듈을 실은 바지선이 울산신항 부두에 접안하는 작업을 하는 모습. /사진=DL이앤씨


DL이앤씨가 국내 석유화학 업계 사상 최대 규모 투자인 에쓰오일의 샤힌 프로젝트 건설 현장에 모듈 공법을 적용했다.

7일 DL이앤씨에 따르면 울산 온산산업단지에 석유화학 시설을 짓는 샤힌 프로젝트 건설 현장에 PAR(Pre-Assembled Pipe Rack) 모듈을 설치했다. PAR 모듈은 플랜트의 원료·생산품 등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배관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번에 설치한 PAR 모듈은 목포 모듈 제작장에서 울산 현장으로 옮겨졌다. 모듈 공법은 기계, 배관 등 설비 구성 요소를 사전에 제작해 문제 발생의 여지를 최소화해 플랜트 공사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DL이앤씨는 지난 2월부터 10회에 걸쳐 순차적으로 모듈을 운송했다. 길이 47m, 너비 22m, 높이 36m에 이르는 대형 모듈을 포함해 총 17개다. 옮긴 모듈의 무게는 모두 1만톤에 이른다.


모듈은 미세한 차이로도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DL이앤씨는 정밀한 제작을 위해 3D 스캐닝을 도입했다. 목포 모듈 제작장에 샤힌 프로젝트 현장을 3D로 구현하고 지형지물을 고려해 맞춤형 모듈을 제작했다.

회사는 제작한 모듈을 바지선에 실어 울산신항까지 450㎞ 거리를 운송했다. 각 모듈의 체적, 무게 중심에 따라 전문적인 해상 운송 엔지니어링 기술을 적용했다.


울산신항에 도착한 모듈을 샤힌 프로젝트 현장으로 옮길 때는 '모듈 트랜스포터'(SPMT)를 동원했다. 모듈 트랜스포터는 주로 조선소 등에서 큰 선박이나 대형 구조물을 옮기는 데 사용되는 특수 운송 장비다.

DL이앤씨는 총 3개 패키지로 나누어 발주된 샤힌 프로젝트에서 핵심인 '패키지 1'을 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과 함께 수행하고 있다. 샤힌 프로젝트는 내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