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동남아시아 지배, 충격과 유산(동북아역사재단 제공)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동북아역사재단이 연구총서 '일본의 동남아시아 지배, 충격과 유산'을 발간했다. 한국 학계에서 처음으로 일본점령기 동남아시아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도한 책이다.


이 책은 세계적인 동남아시아 연구 권위자인 고토 겐이치 교수를 비롯해 한국사, 일본사, 중국사, 프랑스사, 베트남사,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참여로 완성했다. 일본 점령기 동남아시아의 복합적인 모습을 심층 분석하 내용을 담았다.

동남아시아는 오랜 기간 서구 제국주의 국가들의 지배를 받았다. 일본의 점령기는 3년 반에 불과하다. 이러한 이유로 동남아시아 국가들조차 이 시기에 대한 연구 성과는 미미했다. 특히 한국 학계에서는 거의 '불모지'에 가까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책의 출간은 그 의미가 더욱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책은 총 9편의 논문으로 구성됐다. 일본의 동남아시아 지배 정책을 다각도로 조명하는 내용을 다룬다. 서론 격인 두 편의 논문은 '대동아공영권'의 위계와 질서라는 관점에서 일본의 지배 정책 차이를 고찰한다. 또한 중일전쟁 이후 일본 정부가 발행한 프로파간다(선전) 저널인 '사진주보'에 실린 동남아시아 관련 기사를 분석해 전체적인 이해를 돕는다.

이어지는 논문들은 자원 동원과 금융 재편의 관점에서 동남아시아에 대한 일본의 경제적 침탈을 분석한다. 버마(미얀마)와 필리핀 지배 정책의 특징, 베트남의 친일 정권 성립과 붕괴, 인도네시아 독립 과정 등 국가별 구체적인 사례를 담았다. 또한, 남양군도 조선인 노무자 강제동원 문제와 전후 전범재판에서 일본의 동남아시아 침략이 어떻게 심판받았는지에 대한 분석도 포함돼 있다.


책은 일본 점령기가 여전히 동남아시아인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유산이 동북아시아의 식민지 잔재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강조한다. 전후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재지배를 시도하는 구 서구 제국주의 국가들과의 정치적 교섭 또는 해방 전쟁을 통해 독립을 쟁취했다. 일본과는 '역무'의 형태로 점령기 피해를 보상받았다.

이 책은 일본의 동아시아 침략과 지배, 통치 정책의 보편성과 연결성을 드러낸다.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출간된 이 책은 한국인들에게 많은 질문을 던진다. 한국 근현대사를 연구하는 학계는 물론 일반 독자들에게도 유용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