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부진·미국 관세' 여파에 휘청… LG전자, 2분기 영업익 '반토막'
시장 경쟁 심화·물류비 증가 등 비우호적 경영환경 지속
가전·전장·냉낭방공조사업 호실적… TV 홀로 '적자전환'
이한듬 기자
공유하기
![]() |
LG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에 비해 반토막 났다. 수요 부진, 미국 관세 영향 등 비우호적인 경영환경이 지속된 탓이다. 생활가전과 전장, 냉난방공조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선방했으나 TV 사업은 적자로 전환했다.
LG전자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0조7352억원, 영업이익 6394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4.4% 줄고 영업이익은 46.6$ 급감했다.
LG전자 관계자는 "주요 시장 수요부진에 미국 통상정책 변화에 따른 관세 부담과 시장 경쟁심화 등 비우호적 경영환경이 이어지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춮과 수익이 줄었다"며 "물류비 등 전년 대비 증가한 비용 요인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사업별로 보면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S사업본부와 전장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 냉난방공조를 담당하는 ES사업본부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늘었다. 이들 3개 사업본부는 나란히 2분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 최대치를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HS사업본부의 2분기 실적은 매출액 6조5944억원, 영업이익 4399억원이다. 수요 감소와 관세 및 해상운임 부담이 있었지만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이어가는 동시에 볼륨존 영역을 공략하는 '투트랙 전략'이 주효한 것으로 풀이된다.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한 구독 사업의 고속 성장도 지속되는 추세다.
MS사업본부는 매출 2조8494억원, 영업이익 1262억원을 거두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 분기를 통틀어 최대치를 기록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사업에서 프리미엄 판매 비중을 늘리는 제품 믹스 개선이 이뤄지며 영업이익이 크게 늘었다는 설명이다. 전기차 부품, 램프 사업의 오퍼레이션 최적화 및 운영 효율화 활동도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다.
![]() |
ES사업본부는 매출액 2조6442억원, 영업이익 2505억원을 기록했다. 이 역시 2분기 최대 실적에 해당한다 .
B2B(사업자 간 거래), 논 하드웨어, D2C(소비작 직접판매) 등 '질적 성장' 영역에서는 펀더멘털을 견고히 하고 있다. 올해 2분기 전장과 냉난방공조, 부품 솔루션, 스마트팩토리 등 B2B 매출액은 6조20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 성장했다. 가전구독 사업의 매출액은 같은 기간 18% 늘어 올해 2분기 6300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미디어엔터테인먼트(MS사업본부) 사업은 TV 판매 감소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마케팅비용 증가로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3.5% 감소한 4조3934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손실 1917억원을 내며 적자전환했다.
LG전자는 3분기 HS사업본부는 구독 사업 강화 및 온라인을 활용한 D2C 사업 확대 등으로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미국 관세 대응 차원의 원가경쟁력 개선 등 수익성 확보 노력을 이어가고 마케팅 비용 투입 최적화 노력을 병행하며 수익성 확보를 추진한다.
MS사업본부는 전 부문의 역량을 운영 효율화에 집중한다. 타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수요가 견조한 인도 등 '글로벌사우스' 지역 공략을 가속화하고 게임, 예술 등 다양한 신규 콘텐츠 확대로 웹OS 플랫폼 경쟁력도 꾸준히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VS사업본부는 고객사와의 협력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효율적 운영 기조를 지속하며 수익성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 ES사업본부는 하반기 고효율 제품으로의 교체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신규 라인업을 확충하며 성장을 이어갈 방침이다. LG전자 관계자는 "상업용 공조시스템과 산업·발전용 냉방기 칠러의 역량을 강화하고 AIDC(AI 데이터센터) 등에서 액체냉각 솔루션 사업 역량도 구축해 사업기회 확보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한듬 기자
머니S 산업팀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