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예고했던 상호관세를 30%에서 15%로 낮추는 등 무역협상을 타결했다. EU는 일본에 이어 6번째로 미국과 관세 합의를 이뤘다. 사진은 지난 27일(현지시각)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미국과 EU 간 무역 협정 발표 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과 악수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오른쪽). /사진=로이터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상호관세 15% 부과를 골자로 하는 무역협정을 전격 타결했다.

지난 27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이날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만난 뒤 이같은 합의 사실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EU가 약 7500억달러(약 1040조원)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고, 미국에 현재 투자하고 있는 금액보다 6000억달러(약 830조원)를 더 투자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EU가 대규모 군사 장비 구매도 진행하기로 했다"며 항공기·반도체 장비 등 일부 전략적 품목에 대해서는 상호 무관세 합의에 도달한 사실을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를 비롯한 모든 품목에 대한 상호관세는 15% 일률적인 관세가 될 것이며, 이는 미국 수출업체들이 모든 유럽 국가의 개방을 누릴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어 "모두에게 좋은 합의"이자 "많은 국가와 함께하는 거대한 합의"라고 덧붙였다.


다만 15% 관세의 적용 범위에 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에는 15% 관세율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여러번 말한 바와 달리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의약품도 15% 관세를 적용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15% 관세율은 명확한 상한선"이고 말했다.

이번 합의로 EU는 일본에 이어 미국과 관세 합의에 도달한 6번째 국가에 올랐다. 미국은 상호관세 발효일을 오는 8월1일로 예정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