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한여행기


(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에세이스트 정은영 작가가 '왜 마한을 기억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해 남도를 걸으며 한국 문화의 원형을 되묻는 '잊혀진 나라 마한 여행기'를 펴냈다.


마한은 한반도 중서부에 기원전부터 6세기까지 800년간 존재했지만 백제에 병합되며 역사에서 밀려난 고대 국가다. 저자는 마한의 문화에 대해 '공동체적 포용과 부활을 상징하는 문화'라고 규정한다.

작가는 마한의 옹관묘, 금동관, 고분과 악기, 제천의식과 무덤 미학 등 유물과 공간의 기억을 바탕으로 역사를 감각적으로 되살린다.


책은 두 개의 축으로 짜였다. 1부는 남도 곳곳을 발로 누비는 역사 기행이다. 그는 익산·담양·광주·영암·함평·해남 등 마한의 주요 유적지를 직접 걸으며 '역사 지그재그 보기'라는 기법으로 마한의 흔적을 되살린다.

저자는 '도시는 다양한 시간을 품고 있다'며 우리가 살아가는 현재 이곳에서 얼마나 다양한 역사가 흩어져 있는지를 알려준다.


2부는 마한을 상상하고 복원하는 문화적 시도다. 저자의 3년에 걸친 현장 탐사와 학술자료를 아우른 이 작업은 단순한 고대사 답사를 넘어, 지금 우리 삶의 뿌리를 되묻는 여정으로 이어진다.

이에 옹관묘, 장고형 고분, 금동관과 금동신발, 신창동 현악기, 구슬과 문신 문화 등 마한의 유물과 예술, 제천의례 등을 차례로 다룬다.


한편 정은영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오랫동안 정책을 담당한 공무원이자,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한 역사 기행 에세이스트다. 전작 '잊혀진 나라 가야 여행기'는 세종도서에 선정되기도 했다.

자신의 고향 남도 땅을 배경으로 '기록 없는 역사'를 공간과 감성으로 되살린 '잊혀진 나라 마한 여행기'는 고대사 해설이자 개인의 정체성 탐구를 아우르는 복합 에세이다.

△ 잊혀진 나라 마한 여행기/ 정은영 씀/ 율리시즈/ 2만 원

잊혀진 나라 마한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