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예술·기술 경계 허물기"…'디지털 무빙이미지 윤리학' 전시
제25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NeMAF)
KT&G상상마당 홍대 갤러리 4~5F에서 13일까지
뉴스1 제공
공유하기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국내 유일의 탈장르 대안영상예술축제인 제25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NeMAF)이 7일부터 13일까지 KT&G 상상마당 홍대 갤러리에서 '디지털 무빙이미지 윤리학'을 주제로 전시회를 개최한다.
네마프(NeMAF)는 영화, 예술, 기술의 경계를 허무는 융복합 대안영상예술 축제다. 올해로 25주년을 맞아 다양한 대안영상예술, 실험다큐, VR영상설치, 비디오아트 등 21점의 전시 작품으로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크게 세 가지 섹션으로 구성돼 있다. 첫 번째 섹션은 '디지털 무빙의 흑'(黑點, Sunspot)이다. 디지털 영상 예술 이면에 숨겨진 윤리적 질문들을 되돌아보는 공간이다. 김두진, 이미래, 유지영 등 국내외 활발히 활동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기술 발전의 그늘 속에서도 피어나는 예술의 통찰력을 만날 수 있다.

두 번째 섹션인 '커미션- 디지털 무빙이미지 윤리학'은 올해 처음 신설된 ALT 파운데이션 커미셔닝 프로그램의 결과물이다. 이미래 작가의 에세이 필름 '네 명의 어머니가 있었다면'(2025)은 윤리적 질문을 던진다, 김재익 작가는 '나탈 킥, 코스모그라운드'(2025)를 통해 오디오 비주얼의 새로운 지평을 연다. 권동현X권세정 작가의 '익수 크리커다이'(2025)는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큐멘터리를 선보인다.
마지막으로 '뉴미디어' 부문에서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6점의 뉴미디어 작품들이 전시된다. 디아스포라, 언어, 움직임 등 다채로운 주제로 새로운 감각적 경험을 제시한다. 우박스튜디오의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노 이즈 캔슬링'(2025), 우주언 작가의 '퓨처 플랜', 정아람 작가의 '관심 연습: 공동의 시선 II'(2023-2024) 등을 만나볼 수 있다.
전시와 함께 '디지털 무빙이미지 윤리학'에 대한 심포지엄도 열린다. 윤리적 도구로서 '디지털 영상예술 장치'를 점검하는 시간이다. 자세한 정보는 네마프 공식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뉴스1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