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과 록히드마틴이 지난 25일(현지시간) 게르마늄 공급·구매와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사진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마이클 윌리엄스 록히드마팅 인터내셔널 사장,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사진=고려아


고려아연이 글로벌 방산기압 록히드마틴에 게르마늄을 공급하기로 해 글로벌 탈중국 공급망구축에서 존재감을 강화되고 있다. '게르마늄'은 대표적인 첨단 핵심소재로 전세계적인 '수출 규제' 광물이다.


고려아연은 지난 25일(현지시간) 록히드마틴과 게르마늄 공급·구매와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체결식에는 최유범 고려아연 회장과 마이클 윌리엄스 록히드마틴 인터내셔널 사장 등이 참석했다.

록히드마틴은 1995년 록히드와 마틴 마리에타의 합병으로 출범한 곳으로 F-22 랩터와 F-35 스텔스 전투기, 이지스 전투 체계, 패트리엇 미사일 등을 생산하는 세계 최대 방위산업기업이다. 2024년 말 기준 수주 잔액은 1760억 달러(한화 약 246조 원)에 달하며 한국과 UH-60 헬기와 F-16 전투기 조립 생산부터 T-50 초음속 고등훈련기 공동 개발 등 40여 년 동안 협력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고려아연이 록히드마틴에게 공급하려는 게르마늄은 방산, 우주, 반도체 등 첨단사업 분야 필수 핵심소재다. 중국이 2023년 갈륨과 함께 수출규제 1호 품목으로 지정했고 2024년 12월부터 게르마늄·갈륨·안티모니·흑연 등의 대미 수출은 전면 금지됐다. 현재 세계 최대 게르마늄 생산국은 중국으로 전세계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고려아연의 온산제련소 내 게르마늄 공장을 신설하려는 것도 각국의 자원 무기화 추세가 심화되고 수급 불안이 가중되기 때문이다. 국내 유일의 '전략 광물 생산 첨병' 역할의 의미를 갖게 된 배경이다. 전체 투자규모는 1400억 원 안팎으로 2026년 상반기에 착공해 2027년 하반기 중 시운전을 거쳐 2028년 상반기 상업가공이 목표다.


전략광물 공급망 허브로 자리매김한 고려아연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안티모니, 인듐, 비스무트 등을 생산해 왔다. 특히 안티모니는 탄약, 미사일 등 방산 핵심소재로 활용된다. 고려아연은 올해 6월 볼티모어행 화물선에 안티모어 20톤은 선적하며 대미 수출에 나섰다. 연내 100톤 이상, 내년에는 연간 240톤 이상으로 수출 물량을 늘릴 방침이다. 미국은 그동안 안티모니 수입 물량 60%를 중국에서 들여왔다.

고려아연은 미국에서 존재감이 더 커질 전망이다. 고려아연 미국 자회사 페달포인트는 E-WASTE, 구리 스크랩, 폐태양광 등 다양한 폐기물을 확보하고 전처리 한 뒤 국내 온산제련소에 들여와 각종 제품을 생산하는 밸류체인을 구축했다. 또 미국 스크랩 메탈원료 트레이딩 기업인 캐터맨과 로보틱스 솔루션 기업 로보원을 인수한데 이어 올해는 미국 IT 자산 관리 기업 MDSi를 인수하는 등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