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내년 사업 국비반영액 사상 첫 10조원 돌파
11조1418억원으로 올해보다 16% 증가… AI·R&D·SOC·민생안정 투자 역점
경남=이채열 기자
공유하기
![]() |
경상남도가 2026년 정부예산안에 11조1418억원의 국비를 반영하며 사상 처음으로 10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9조6082억원)보다 1조5336억원(16%) 늘어난 규모로 정부 예산 증가율(8.1%)을 크게 웃돌았다.
이번 성과는 남부내륙철도, 부산신항 김해고속도로 등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건설사업과 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된 '피지컬 AI 기술개발사업', 수해 복구비 등이 대거 반영된 데 따른 것이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2일 도청 브리핑에서 "국비 확보는 단순한 수치를 넘어 경남 교통·산업·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AI 혁신과 SOC 확충, 민생안정을 토대로 경남을 산업·경제 중심지로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
미래산업 투자 부문에서는 △피지컬 AI 기술개발(400억원) △이노베이션 아카데미(73억원) △청년스마트농업단지(55억원) △극한소재 연구기반(325억원)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958억원) 등 주력산업의 AI 전환과 인재양성 예산이 포함됐다.
주력산업 육성을 위해 △방산혁신클러스터(50억원) △중소조선 함정 MRO 지원(50억원) △소형모듈원전(SMR) 시험검사센터(1억원) △첨단우주항공 인큐베이팅센터(5억원) 등이 반영돼 방산·조선·원전·우주항공 산업 경쟁력 강화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균형성장 기반 확충을 위한 △남부내륙철도(2600억원) △진해신항(8350억원) △부산신항 김해고속도로(2750억원) △남해~여수 국도77호(520억원) △남부권 광역관광개발(589억원) 등 서부경남 접근성과 관광 인프라 강화 사업도 대거 예산에 반영됐다.
민생안정 분야에서는 △수해복구(4220억원) △경남권 공공어린이재활병원(22억원) △서부의료원(15억원) △청소년 디딤센터(10억원) △지역사랑상품권(322억원) △생계·의료·주거급여(1조 5929억원) 등이 포함돼 취약계층과 소상공인 지원이 강화됐다.
도는 이번 정부안에 반영되지 못한 거제~통영 고속도로와 국립남부청소년수련원 등은 앞으로 국회 심의 과정에서 추가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경남=이채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