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금융위원장이 지난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사진=뉴스1


이재명 대통령이 이억원 금융위원장의 임명안을 재가했다. 지난 11일 이 위원장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재송부 요청 마감일이 지났으나 국회가 이를 거부하면서 이 대통령이 이 위원장의 임명을 강행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전날 이 대통령은 이억원 위원장과 주병기 공정위원장을 임명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100여일 만에 금융위 인선이 완료된 셈이다.

이 위원장은 오는 15일 5대 금융지주 회장과 만나 첨단산업에 대한 금융 지원과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당부할 것으로 알려졌다. 소상공인 지원 등 상생금융 강화를 주문하면서 금융소비자 보호에 만전을 기해 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지주 회장들은 기업 투자를 늘리기 위해 먼저 자본 규제를 풀어달라고 요청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위원장은 취임 직후부터 금융정책 전문성과 조직 내 리더십, 정치적 판단 능력을 동시에 요구받는 시험대에 올랐다. 특히 금융감독의 연속성과 감독 기능 효율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과 협상에 나서야 한다.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7일 기획재정부를 국무총리실 소속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분리하고, 금융위원회의 국내 금융정책 부분을 재경부에 이관하는 정부 조직개편안을 발표했다.


금융위는 금융감독위원회로 이름을 바꾸고 위원회에 '증권선물위원회'와 '금융소비자보호위원회'를 설치한다. 또 산하에 금융감독원과 금감원 내 금융소비자보호처를 분리·신설한 금융소비자보호원을 두고, 지도 감독을 한다. 금융당국은 금융위와 금감원에서 재경부, 금감위, 금감원, 금소원 등 네 갈래로 나뉜다.

신용보증기금과 서민금융진흥원, 중소기업은행, 한국주택금융공사(캠코), 한국산업은행, 한국자산관리공사, 예금보험공사 등 산하 공공기관도 재편된다. 최대한 많은 조직과 인력, 산하기관을 가져가려는 기재부와의 힘겨운 협상이 예고된다.


허탈감과 분노에 빠진 직원들을 다독이고 안정적으로 조직을 운영하는 것도 이 위원장의 과제다. 금융위는 서울 근무라는 이점으로 행정고시 재경직 최상위권 합격자들의 인기를 독차지했으나 세종시 이전에 직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산하 기관인 금감원의 분위기도 심상찮다. 금감원은 감독체계 개편에 따라 내년 금소원이 분리, 공공기관이 재지정되면서 반대를 요구하고 있다. 금감원은 다음주 중 국회 앞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일 계획이다. 최대한 많은 직원이 참여해 금융감독체계 개편에 대한 노조 입장을 알릴 예정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 위원장이 취임하자마자 조직을 분리하고 구조조정을 해야 하는 임무를 맡게 됐다"며 "내부 신뢰 회복과 금융시장 안정까지 동시에 책임져야 하는 매우 중대한 시험대에 올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