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채용 키워드 'AI·소통·전문성'… 기업 51% "경력직 선호"
대한상의 조사… AI 인재 채용선호도는 데이터·기획·개발 순
이한듬 기자
공유하기
![]() |
하반기 채용문은 인공지능(AI) 역량, 소통, 직무 전문성을 갖춘 인재에 열릴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경제계 소통플랫폼인 '소플'을 통해 500여개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반기 기업의 채용 트렌드 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업 69.2%(복수응답)는 채용 시 AI 역량을 고려하고 있었다고 16일 밝혔다. 이어 소통·협업 능력(55.4%), 직무 전문성(54.9%)을 갖춘 인재를 확보하겠다는 답변했다.
'도전정신·문제해결능력(25.8%)', '창의성·혁신 역량(25.0%)', '실행력·주도성(20.8%)', '윤리의식·신뢰(19.0%)', '글로벌 역량(6.8%)' 등의 답변도 있었다.
'신입보다는 경력'이 하반기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응답기업의 51%는 채용 시 경력직을 가장 선호한다고 답했다. 신입과 경력을 모두 비슷하게 선호한다는 기업은 38.7%, 신입을 선호한다고 밝힌 기업은 10.3%에 불과했다.
'AI 전문 인력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는 기업의 69.4%는 '그렇다'라고 답했다. 이유로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할 수 있는 인재(31.6%)', 'AI를 활용해 서비스나 업무 방식을 기획·운영할 수 있는 인재(25.9%)', 'AI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할 수 있는 인재(15.8%)'의 필요성에 근거한다.
노동 관련 법제도 변화가 기업들의 채용 계획 수립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 중 97.4%는 노동 관련 제도의 변화가 채용 계획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관련한 주요 이슈는 '주4.5일제(29.3%)', '정년연장(26.7%)', '노란봉투법(25.8%)', '포괄임금제 폐지(15.5%)' 등을 꼽았다. 고용 안정성과 유연성을 균형 있게 고려한 고용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최근 기업들이 'AI 전환'에 집중하고 있어 하반기 인재의 핵심 키워드도 단연 AI 인듯하다"며 "미래기술에 대한 다양한 채용시장의 변화를 관찰해 산업부문의 인력수급 미스매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민관의 세심한 노력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한듬 기자
머니S 산업팀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