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전략정비구역 입찰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사진은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1~4구역) 일대 모습./사진=뉴시스


서울 최대 재개발 프로젝트로 손꼽히는 성수전략정비구역의 시공사 입찰 과정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성수1·3지구는 각각 입찰지침 취소와 설계사 재공모 등으로 일정이 다소 지연될 전망이다. 성수2지구는 최근 시공사를 상대로 설명회를 실시한 결과 삼성물산·DL이앤씨·포스코이앤씨 등 대형사들이 참여하며 경쟁 구도로 돌입했다.


1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성수1지구 재개발 조합은 지난 18일 대의원회를 열고 기존 입찰지침(시공사 선정계획서) 취소를 가결했다. 조합은 조만간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재입찰에 나설 전망이다. 지난 9일 조합은 긴급이사회를 열어 입찰지침 변경을 결정한 바 있다.

새로운 지침에는 추가이주비 한도를 기존 주택담보대출비율(LTV) 100% 이내에서 150%로 확대하는 방안이 담긴다. 아울러 ▲조합원 로열층·로열동 배정 금지 조항 삭제 ▲사업비 상환 순서 조정 ▲입찰 내용 충돌시 조합 우선 해석권 축소 ▲공사 범위 명확화 등이 포함됐다.


그럼에도 경쟁 입찰 분위기는 녹록지 않다는 분위기다. 당초 입찰 계획을 밝힌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은 공정성 확보를 강력히 요청하고 있다. 두 건설업체는 "경쟁사인 GS건설에 유리한 조건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투명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지적했다.

현대건설은 ▲기존 입찰 안내서에 GS건설의 의도 반영 ▲대의원회 회의 자료 임의 수정 ▲조합과 GS건설간 비밀 회동 ▲GS건설 직원의 조합원 개별 접촉과 복숭아 선물 제공 등을 지적했다.

성수2지구 대형사 참여로 흥행 예고

사진은 서울 시내 한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노동자들이 작업하는 모습/사진=뉴스1


성수3지구도 비슷한 상황이다. 성수3지구는 지난달 해안건축을 설계사로 선정했지만 성동구청이 정비계획 위반을 이유로 실격 처리 명령을 내리면서 무산됐다. 두 회사가 제출한 안이 고시 기준(최고 250m, 주동 1~2개)을 초과했기 때문이다.


이에 조합은 지난 16일 설계공모 재공고를 내고 오는 29일까지 입찰서를 받는다. 현장설명회는 오는 24일 조합 사무실에서 개최한다. 최종 설계사는 11월 19일 발표된다.

성수2지구는 지난 12일 현장설명회를 실시해 삼성물산·대우건설·DL이앤씨·포스코이앤씨·SK에코플랜트 등 9개 주요 건설업체가 참여했다. 성수2지구는 성동구 성수2가 1동 506번지 일대에 최고 65층, 2609가구, 총사업비 1조8000억원 규모의 재개발 공사를 하는 프로젝트다. 강북 최대 정비사업으로 꼽힌다. 성수전략정비구역 가운데 처음으로 시공사 선정을 앞두고 있어 업계의 관심이 집중된다.


조합은 다음 달 28일까지 입찰 제안서와 보증금 1000억원을 수령할 예정이다. 오는 12월20일 총회를 열어 시공사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성수2지구의 투자 가치가 높으면서도 정비사업 정책의 리스크가 있다고 지적한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연구소 소장은 "내년 서울시장 선거가 예정돼 정비사업 관련 정책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입지와 상징성을 감안할 때 성수전략정비구역은 서울 정비사업 중 대박 사업지로 꼽힌다"며 "다만 정책 리스크를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려운 만큼 조합과 건설사가 장기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