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신저로 스테이블코인 송금… 카이아, 아시아 저력 보여 줄 것
프로젝트 유니파이 앱, 스테이블코인의 장점 흡수해 금융의 전환 꾀해
양진원 기자
공유하기
![]() |
카이아 DLT 재단(Kaia DLT Foundation·카이아)과 라인 넥스트(LINE NEXT)가 그동안 갈고닦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스테이브코인의 대중화를 꾀한다. 미국 등에 뒤처진 만큼 아시아와 한국의 성공 사례를 빠르게 선보여 시장 경쟁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각오다.
카이아는 22일 삼성동 파크하야트서울에서 스테이블코인 전략 기자간담회를 열고 스테이블코인 기반 웹3 슈퍼앱 '프로젝트 유니파이(Project Unify·가칭)'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해당 앱은 카이아 기반 단독 앱과 함께 라인 넥스트가 메신저 기반 미니 디앱(Mini Dapp)으로도 제공된다.
유니파이 앱은 올해 안에 베타 서비스를 출시 예정으로 이후 스테이블코인 예치 수익 결제, 송금, 온·오프램프,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및 게임 등 소비자 중심 웹3 및 핀테크 기능을 선보일 것이다.
서상민 카이아 DLT 재단 의장은 "유니파이 앱은 스테이블코인이 필요하고 이러한 부분들이 활성화될 때 시나리오를 가정한다"며 "파편화된 금융시장 해결 설루션"이라고 말했다. "이를 카이야 상에 만들어가려고 한다"고 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의지도 드러냈다. 서상민 의장은 "카이아는 K메인넷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의 기본값이 되겠다"며 "다양한 발행사들과 논의하고 있다"며 "컨소시엄 협력을 통해 카이아는 무조건 포함되게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체인 외 기술 인프라가 필요한데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유통사를 위한 기술 얼라이언스를 구축하겠다"고 부연했다.
유니파이 앱을 통해 사용자는 스테이블코인을 지갑에 입금하기만 하면 실시간으로 인센티브를 얻는 혁신적인 시스템을 경험할 수 있다. 메시지를 통해 누구에게나 스테이블코인을 보내고 전 세계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하고 페이백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유니파이 앱은 이전에는 제공되지 않았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광범위한 온·오프 램프 솔루션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추가 보상을 제공하는 100개 이상의 웹3 앱을 즐길 수도 있다.
김우석 카이아 재단 이사 겸 라인넥스트 CSO(최고전략책임자)는 "내년에는 아시아 대부분 국가들에서 스테이블코인이 나올 것"이라며 "지난 10년 동안 봤던 돈의 디지털화가 진행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디지털 화폐는 사용자에게 무조건 좋다"며 "거래를 만들 때 수수료와 지급 지연이 발생하는데 한국은 핀테크가 발달이 잘 된 국가"라고 했다. 국경을 넘어가는 해외 결제 정산에서 수수료와 지급 지연에 따르는 불편함을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유니파이는 여러 국가 통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들을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해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시장 경쟁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한다. 이를 위해 향후 현실화 될 것으로 보이는 원화를 포함, 미국 달러, 일본 엔화, 태국 바트, 인도네시아 루피아, 필리핀 페소, 말레이시아 링깃, 싱가포르 달러 등 국가별 통화에 고정된 스테이블코인을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김 이사는 이번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관심이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구조적 변혁의 신호탄이라고 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 열기가 뜨거운데 열기가 지금까지와는 다르다고 생각한다"며 "그동안 블록체인 및 웹3는 새로운 화두가 있으면 회자가 되다가 사라졌다"고 했다. "이번 스테이블코인은 구조적인 변화인 만큼 많은 것들이 바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블록체인 위상을 바꾸는 것만 아니라 디지털 앱 생성과 분배가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김 이사는 "한국과 아시아에서 빠르게 치고나가는 게 필요하다"며 "미국이 이러한 앱이나 설루션 시장을 선도 중인데 한국과 아시아에서 성공 사례가 나오는 게 위상을 바꿀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양진원 기자
안녕하세요 양진원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