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문회서 혼난 KT, 보조금 최대 106만원까지 높여
갤럭시 S24, 번호이동 시 최대 보조금 적용
김성아 기자
공유하기
![]() |
해킹 사태가 확산 중인 KT가 보조금을 최대 106만원까지 올리며 가입자 이탈 방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회 청문회에서 "보조금만 풀고 해킹 수습에는 소홀하다"는 비판을 받은 지 불과 나흘 만에 오히려 고가 보조금 정책을 확대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이날 오후부터 100만원을 훌쩍 넘는 보조금 정책을 전국적으로 시행했다. 갤럭시 S24의 경우 번호이동 시 보조금이 기존 100만원 수준에서 최대 106만원까지 올라섰다. 수도권뿐 아니라 대전·대구 등 지방 판매점에서도 동일한 수준의 고가 보조금이 확인돼 본사 주도의 전국 단위 정책이 집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고가 플래그십 모델에 대한 지원도 파격적이다. 갤럭시 S25는 기기값이 사실상 '0원'으로 책정됐고 아이폰16은 20만원대 가격에 판매되는 사례도 나타났다.
이 같은 보조금 상향은 KT가 지난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청문회에서 집중 질타를 받은 직후다. 당시 여야 의원들은 KT가 해킹 수습보다는 가입자 지키기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영업 행태를 비난했다. KT는 청문회 이틀 뒤부터 고가 보조금을 다시 풀며 가입자 확보에 나섰다.
KT는 해킹 여파로 고객 이탈이 시작된 지난 19일 하루 1328명의 가입자가 줄었다. 이는 올해 들어 처음으로 하루 1000명 이상 순감한 기록이었다. 하지만 지난 20일에는 보조금을 높인 영향 덕분에 689명 순증으로 돌아섰고 이후 24일 청문회 당일부터 27일까지 가입자 순증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KT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무단 소액결제 해킹 피해(지난 8일)와 서버 해킹(지난 18일)을 각각 신고했다. 문제는 신고 다음 날마다 대규모 보조금 상향 정책을 집행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이훈기 의원(더불어민주당·인천 남동구을)은 청문회에서 "해킹 수습에는 뒷전인 채 가입자 지키기에만 급급하다"고 비판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국회에서 "금전 피해가 없었던 SKT 해킹보다 KT 해킹의 피해가 더 심각하다"고 인정하면서도 위약금 면제와 관련해선 선을 그었다. 그는 "피해가 발생한 고객 2만여명에 대해서는 위약금 면제를 적극 검토하겠지만 전체 고객 위약금 면제 여부는 최종 조사 결과에 따라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성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