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닥사)가 미신고 가상자산사업자 거래 차단을 위해 업계와 대응 역량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1일 닥사는 지난 30일 서울 강남 드림플러스에서 국내 가상자산사업자를 대상으로 '미신고 가상자산사업자와의 거래금지 의무 준수 제고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정금융정보법)'상 의무 이행을 강화하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됐다.


현행법에 따르면 가상자산사업자는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신고 수리를 받아야 영업할 수 있으며 신고를 이행하지 않은 미신고사업자와 영업 목적 거래는 금지된다. 그러나 블록체인 기술 특성상 송신인 신원 확인이 어려워 미신고사업자와 연계된 거래를 완전히 차단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업계에서 제기돼 왔다.

간담회에서는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솔루션 기업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와 TRM 랩스가 미신고사업자 식별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소개했다. 이어 업비트와 빗썸이 지갑주소 확인 및 대응방안 등 실무 사례를 공유하며 업권 전반의 대응 역량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DAXA는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사업자 간 정보 공유와 외부 전문 역량이 결합돼 미신고사업자 식별 및 관리 능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DAXA는 미신고사업자 제보 채널을 운영하며 접수된 제보를 검토한 뒤 FIU에 전달하고 있다. 협의체는 이를 통해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안전성과 건전성 제고에 힘쓴다는 방침이다.


김재진 DAXA 상임부회장은 "미신고사업자와의 거래 차단을 위해 업권 전체가 적극적으로 협력하게 된 점에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실효성 있는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투자자들이 안심할 수 있는 거래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