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왼쪽에서 세 번째)가 13일 도청에서 반크와 생성형 AI 오류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3일 경기도청에서 '생성형 AI 속 경기도 자료 오류 대응 간담회'를 열고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VANK) 와 생성형 AI(인공지능) 오류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박기태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단장과 연구원 등 10명이 참석했다. AI 기술이 생성한 경기도 관련 오류 사례로 현 강원도 춘천시 남이섬을 경기도 가평군 남이섬이라고 답변한 사례가 소개됐다. 또한, 기후행동 기후소득이나 버스 환승제도, 청년정책 등 경기도 정책에 관한 서술 오류, 경기도 문화유산의 이미지를 변형하거나 역사적 맥락이 축소되는 사례도 다수 확인됐다.

반크는 경기도 공식 누리소통망(SNS), 누리집, 앱을 통한 AI 오류 신고 캠페인 전개, AI 오류 신고보상시스템 도입, 경기도형 AI검증 플랫폼·AI 오류 아카이브 구축 등을 제안했다. 특히, 생성형 AI 오류를 모니터링하는 '글로벌 AI대사' 양성사업을 제안했다.


경기도는 생성형 AI 시대의 정보 신뢰도 확보와 윤리적 활용 기반 마련을 위해 반크와 협력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특히,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데이터 클라우드소싱 기반의 오류 탐지 시스템과 경기도형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을 통해 행정 혁신도 추진할 계획이다.

박 단장은 "우리나라 외교관이 2000명 밖에 안된다"며 "경기도가 최초로 경기도민들을 글로벌 AI대사로 양성해 전 세계에 잘못 퍼진 AI 관련 오류를 발견하고 시정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반크가 도에서 같이 할 수 있는 좋은 제안을 많이 해주었다"면서 "AI 오류는 경기도청이나 공공기관이 아니라 일반 도민들이 찾으면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도 고려해 봤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