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적막만이 감돈 마포 부동산… "매물 자취 감추고 문의 뚝"
"광범위한 규제 당혹"… 주거 사다리 붕괴 우려
최성원 기자
공유하기
![]() |
"이달 초 추석 연휴 전 사람들이 부동산대책을 예상한듯 다 움직였다. 어제 대책 발표일엔 거래가 있었고 현재는 매물도 거의 없는 데다 문의 전화마저 끊겼다."-서울 마포구 A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
이재명 정부 출범 3개월 만의 세 번째 부동산대책이 지난 15일 발표됐다. 대출 한도를 축소하고 비거주 투자를 금지한 이번 대책은 기존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토지거래허가구역)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집값 상승을 주도해온 마포·성동·광진 등 한강벨트에 가장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같은 예상이 적중하듯 대책 발표 다음 날인 16일 오전 마포구 일대 공인중개사사무소들은 이른 시각 영업을 시작했음에도 적막만이 흘렀다. 발표 이전부터 규제 1순위로 지목된 마포구는 매수자들이 미리 움직였다는 게 현장 관계자들의 말이다.
마포구 용강동 공인중개사 A씨는 "대책 이후 매수·매도시장이 관망세에 접어들었다고 본다"며 "내년 초까지는 지금 같은 상황이 유지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마포구 용강동 'e편한세상 마포리버파크'(547가구)는 전용면적 84㎡가 지난달 27일 27억원(4층)에 거래됐다. 올 초 1월 동일 면적의 실거래가가 21억5000만원(13층)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25.6% 상승했다.
광범위한 규제에 공인중개사업계 '당혹'
![]() |
이번 대책은 서울 25개 구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지정해 15억~25억원 주택 대출 4억원, 25억원 초과 주택 대출 2억원으로 한도를 낮췄고 갭투자(전세계약 낀 매수)를 막기 위해 실거주 2년 의무를 부과했다.
예상보다 광범위한 규제에 시장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른바 '똘똘한 한 채' 현상을 더욱 심화시킬 거란 지적도 나온다.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인근 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 B씨는 "정부가 공공임대주택 중심 공급대책을 발표한 지난달 민간 투자시장은 거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면서 "강남3구는 실거주 목적과 가격 상승을 기대한 투자 목적의 매수 대기자가 혼재해 현금부자들의 똘똘한 한 채 현상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 |
아현동 공덕자이 인근 공인중개사 C씨는 "이전에는 서울 고가 지역에 규제가 적용돼 인근으로 풍선효과가 발생하거나 매매를 막으면 전세가 뛰기도 했다"면서 "이 같은 현상은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이번 규제가 집값 하위 지역을 포함한 서울 전역으로 확대되며 중산층 이하 실수요자가 미래의 소득을 담보로 주거 상향을 이룰 수 있는 주거 사다리를 붕괴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존재했다.
인근 공인중개사 D씨는 "현금 자산가의 경우 대출 규제 영향이 적어서 중산·서민층의 주거 사다리를 약화시키는 부작용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