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15일 오후 서울 남산에서 성동구와 광진구 일대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다. 정부가 6·27 대출 규제과 9·7공급대책에 이어 발표한 추가 대책은 기존 규제지역인 강남3구·용산구를 포함한 서울 25개 구 전역과 한강 이남의 경기도 12곳 등 총 27곳을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삼중 규제지역'으로 묶고 금융규제까지 강화하는 내용이다. /사진=뉴시스


서울 전역에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시행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한강벨트 지역으로 불리는 마포와 성동구에선 매물이 늘고 있다.


토허제 시행 후 실거주 의무가 적용돼 매수자를 찾기 어려워 질 것이란 우려다. 갭투자 대기자들은 규제 시행 전 막차를 타기 위해 서두르는 모습이다.

18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발표한 서울 전역과 경기 일부 지역에 대한 토허제 지정이 오는 20일 시행된다.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정책인 10·15 대책 이후 2년간 실거주 의무가 생기기 때문에 사실상 갭투자가 불가능해진다. 토허제 구역에서 아파트 등을 거래할 때는 계약 체결 전 관할 관청에서 허가를 받아야 한다.


갭투자로 주택을 매수한 집주인들은 실거주 의무로 인해 매수자를 찾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매물을 내놓고 있다. 전세가율이 높은 마포구와 성동구는 강남3구 집값 상승의 풍선효과로 큰 시세차익이 가능한 지역으로 투자 수요가 몰리고 있다.

마포구 마포그랑자이 전용 59㎡는 23억원, 전세 8억3000만원 세입자를 끼고 거래 중이다. 성동구 래미안 옥수리버젠 전용 59㎡ 매물은 23억5000만원, 전세 보증금은 7억7800만원으로, 갭투자자가 자기자본 약 16억원을 투자해야 한다.


최근 마포구 마포래미안푸르지오는 137건에서 158건으로 증가했고 성동구 금호동 e편한세상금호파크힐스는 지난 10일 69건이던 매물이 17일 96건으로 약 39% 증가했다. 인근 벽산아파트도 같은 기간 80건에서 87건으로 늘었다.

서울 서남부권에서도 규제 이후 거래가 끊길 것을 우려해 급히 시장에 매물을 내놓는 집주인이 늘고 있다. 관악구 신림푸르지오1차는 115건에서 135건, 금천구 시흥동 벽산5단지는 156건에서 168건으로 매물이 늘었다.


10·15 대책 후 매물이 늘고 있으나 매수세가 빠르게 따라붙는 양상은 아니다. 성동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문의는 많지만 추석 이후 호가가 단기간에 오르면서 실제 계약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며 "급매물이라고 해도 가격을 많이 내린 물건을 찾아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과 수도권을 규제지역과 토허제로 묶기 전에 아파트 가격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 전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몰리며 서울 아파트값이 불과 2주 만에 0.54% 뛰었다. 한강 벨트인 성동·광진·마포와 강남과 가까운 분당·과천이 나란히 1%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둘째 주(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2주 전 대비 0.54% 올랐다. 수도권은 0.25% 상승했고 지방은 보합을 유지한 가운데 전국 아파트 가격은 0.13% 뛰었다. 서울 중구와 영등포·동작, 경기 성남 수정구·안양 동안구의 상승세도 가팔라지는 등 서울발 상승세가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