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자본잠식' 석유공사, 해외자원 개발로 12.8조원 증발
정연 기자
공유하기
![]() |
한국석유공사가 해외사업에서 잇따라 대규모 손실을 내는 가운데 국내외 신규 탐사와 대형 투자를 추진하면서 재무위기 우려가 더 커지고 있다.
2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재관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천안을)이 기획재정부로부터 받은 석유공사 자료를 보면 석유공사가 지난 6월 말 기준 진행 중인 16 개 해외사업에서 약 12조8000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총사업 투자액 27조8600억원 중 회수액은 15조5200억원에 불과했다.
특히 캐나다 하베스트 프로젝트의 경우 8조9900억원이 투자됐지만 517억원을 회수하는 데 그쳤다. 총손실 규모는 8조9300억원으로, 회수율은 0.58%에 머물렀다. 영국 다나 프로젝트 역시 3조1000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이익을 남긴 사업은 4개뿐이었다. 이마저도 ▲'베트남 15-1 사업' 2조6000억원 ▲'리비아 엘리펀트' 3367억원 ▲'페루 8' 1589억원 , '예멘 LNG' 335억원으로 손실을 채우기는 역부족이란 평가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석유공사는 신규 탐사 및 투자를 계획해 재무 위험성을 높이고 있다. 석유공사의 중장기 재무관 계획에는 향후 5년간 (2025~2029) 동해 심해 가스전이 대왕고래 탐사시추를 포함한 국내 대륙붕 탐사에 약 4639억원, 호주·동남아 등 해외 신규 탐사에 1306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나와 있다. 재무구조 개선 대신 위험 부담이 큰 신규 사업에 8000억원에 가까운 대규모 투자를 강행하려는 모습이다.
이재관 의원은 " 석유공사가 해외자원 개발 실패로 12조원이 넘는 손실을 기록했고, 누적 부채가 21조원에 달하게 되면서 자본잠식에 빠져있다"며 "이로 인해 연간 이자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에는 대왕고래 프로젝트 실패까지 겹치면서 재무부실은 더 커질 것"이라며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신규사업 추진보다는 부채를 해결할 실질적인 계획을 고려할 때"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정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