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3분기 수출액, 관세 악재 딛고 역대 최고치 기록
이예빈 기자
공유하기
중소기업 3분기 수출액이 미국발 관세의 악재를 딛고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지난 26일 발표한 '2025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에선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1.6% 증가한 305억달러(약 43조9139억원)로 나타났다. 3분기 당기 기준 최고액이다.
올해 1~9월 누계 수출액 역시 전년동기대비 5.8% 증가한 871억달러(약 125조4065억원)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같은 기간 수출 중소기업 수 또한 3.0% 늘어난 8만9418개사로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다.
월별로는 7월 수출액이 전년동기대비 8.3% 증가했지만, 8월에는 2.1% 감소했다. 9월에는 화장품, 자동차 등 상위 수출 품목의 수출 호조세, 조업일수 영향(+4일)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30.0%나 뛰었다.
품목별로는 중소기업 상위 10대 수출 품목 중 9개가 늘었다. 자동차(26억2000만달러(약 3조7722억원)·+80.0%)는 증가세가 지속됐다.
대표적인 중소기업 주도 수출 품목인 화장품(22억1000만달러(약 3조1819억원)·+28.0%)은 미국에서 역대 분기 최고 수출액(4억9000만달러(약 7055억200만원)·+26.6%)을 찍었다. 폴란드(5000만달러(약 719억원)·+69.1%) 등 유럽·중동 수출까지 확대되면서 역대 최고 실적을 거뒀다.
1~9월 누계 기준 중소기업 화장품 수출국은 203개국으로 기록을 새롭게 썼다. 수출 중소기업 수 8922개사 역시 최고치다. 화장품 총수출 중 중소기업 비중은 3분기 기준 73.3%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중국(47억5000만달러(약 6조8390억원)·+12.7%)은 화장품(2억7000만달러(약 3887억4600만원)·+22.4%), 동제품(2억5000만달러(약 3599억5000만원)·+60.3%) 수요 확대 등으로 6월 이후 4개월 연속 증가세가 지속됐다.
미국(46억4000만달러(약 6조6806억원)·+4.3%)은 지난 8월7일 시행된 상호관세에도 화장품(4억9000만달러(약 7055억원)·+26.6%), 전력용기기(3억3000만달러(약 4751억원)·+27.1%) 등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였다. 품목 관세 대상인 철강(파생상품 포함), 알루미늄(파생상품 포함), 자동차부품의 대미 수출도 각각 3.6%, 21.6%, 11.0% 늘었다.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 3분기 수출액은 3억 달러로 역대 2위에 랭크됐다. 1~9월 8억1000만달러(약 1조1662억원)는 역대 최대 실적이다.
온라인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화장품의 경우 미국(-22.6%)·일본(-21.0%)이 감소했으나 중국(+137.0%), 영국(+169.3%)의 증가로 전년 보합 수준을 유지했다.
이순배 중기부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최근 K-뷰티는 미국을 넘어 폴란드, UAE(아랍에미리트) 등 신흥시장에서의 확산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성공사례를 다른 유망 소비재로 확산해나갈 것"이라며 "특히 미국 내 인디 브랜드 성공의 출발점이었던 온라인 수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련 업계와 긴밀히 소통 중이다. 온라인 수출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인 지원방안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예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