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경북 경주 예술의 전당에서 'APEC CEO 서밋' 기조 연설에 나선 오경석 두나무 대표. /사진=두나무 제공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29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APEC CEO 서밋 2025'에서 '디지털 화폐와 국제 금융시장의 미래' 세션 연단에 올라 "버플은 진화를 위한 통과 의례"라며 디지털 자산 버블 이후 진화에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오 대표는 아마존을 사례로 들며 "대학 시절 닷컴 버블을 봤다. 당시 주가는 2년만에 93% 폭락했다"며 "지금은 글로벌 인프라 대기업으로 성장했다"고 말했다.

이어 아마존과 비트코인을 비교하며 "2018년 또다른 자산이 고점 대비 80% 하락했지만 현재 그 당시보다 5배 이상 상승했다"고 했다. 7년 전 비트코인 가격은 약 2800만원이었다. 29일 오후 4시 기준 비트코인 시세는 1억6800원대에서 거래된다.


그는 "철도·전기·인터넷도 한때 버블이라 불리며 무시받았다"며 "결국 모두 필수 인프라가 됐다"고 강조했다. 비트코인 등 디지털 자산 거품론이 있지만 결과적으로 사회 중요 자산이 될 것이라는 점을 짚은 것이다.

또한 "미국은 이미 과감한 발걸음을 딛었다. 비트코인 ETF를 승인해 디지털 자산을 금융 주류로 통합시켰고 지난 7월에는 스테이블코인 규제 체계인 지니어스법을 통과시켰다"며 한국 정부의 조속한 디지털 자산·스테이블코인 정책 지원을 촉구하기도 했다.

"디지털자산 시대, 알고리즘·네트워크 합의가 신뢰의 보증자"

오경석 두나무 대표. /사진=두나무 제공


오 대표는 화폐의 역사를 설명하며 디지털자산이 새로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내용을 차용해 "돈의 역사는 형태의 변화 뿐만 아니라 그 가치를 보증하는 주체의 변화"라며 "금본위제 시대에는 금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약속이, 법정화폐 시대에는 국가 제도가 그 가치를 지탱했다"고 했다. 이어 "디지털 자산 시대에는 알고리즘과 네트워크 합의가 신뢰 보증자"라고 목소리 높였다.

그러면서 "지금 우리는 법정화폐와 디지털 자산이 공존하며 서로의 강점을 보완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며 "전 세계 디지털 자산 보유자는 5억6000만명 이상으로, 이는 동남아 전체 인구와 비슷한 규모다. 상위 21개 디지털 자산 지갑은 12억 회 이상 다운로드되었고 비트코인은 대부분의 주식과 원자재를 제치고 세계 7위 자산으로 올라섰다"고 말했다.


스테이블 코인 필요성도 설명했다. 그는 "블록체인은 중앙 권력 없이 참여자들이 거래 기록을 공유하고 검증할 수 있게 한다. 네트워크 자체가 신뢰의 보증자가 되는 것"이라며 "이 때문에 블록체인은 '미래의 금융 인프라'라 불린다. 다만 오랫동안 블록체인은 기존 금융 시스템과 단절되어 있었다. 이 둘을 연결하는 다리가 바로 스테이블코인"이라고 전했다.

오 대표는 연설을 마무리하며 향후 두나무 포부를 밝혔다. 그는 "단순한 거래소를 넘어 글로벌 금융 인프라 제공자로 진화하고 있다"며 "다음 세대 금융 혁신의 물결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