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2026년 본예산 39조9046억…전년보다 3.1% ↑
경기=남상인 기자
공유하기
경기도가 39조 9046억원 규모의 2026년 본예산을 편성했다. 이는 전년보다 1조1825억원(3.1%) 증가한 규모다.
김성중는 행정1부지사는 3일 기자회견을 열고 "한정된 재원 속에서 경기 회복과 민생 회복의 불씨를 되살리기 위해 과감하고 전략적으로 재정을 운용하겠다"며 2026년 본예산 운영 방향을 밝혔다.
경기도는 이 같은 재정 운용 원칙에 따라 민생경제, 미래성장, 돌봄·안전, 지역개발과 균형발전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도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
첫 원칙은 '민생경제' 회복이다. 이를 위해 고물가·고금리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지원을 위해 1194억원 규모 지원예산을 투입한다. 전통시장 현대화, 특례보증 손실보전, 영세 소상공인 지원, '힘내GO카드',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 등을 통해 소비를 촉진하고 지역 상권의 활력을 되살릴 계획이다.
또 도민 이동권 확대를 위한 교통복지 강화에는 7706억원을 편성했다. 시내·광역버스 공공관리제, THE 경기패스, 어린이·청소년 및 어르신 교통비 지원 등이 포함된다.
'미래 성장' 분야에는 1382억원을 투입해 반도체, AI, 로봇, 기후테크 등 첨단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AI 혁신 클러스터 조성,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 등을 통해 혁신 역량을 높일 방침이다.
특히 대·중소기업 상생형 주 4.5일제,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RE100 소득마을 조성사업을 통해 산업 혁신이 도민의 삶과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어지게 하겠다는 방침이다.
돌봄 공백을 줄이고,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생활안전망 구축에는 총 1조3927억원을 투자한다. 360도 돌봄사업, 영유아 무상보육, 누리과정 지원, 장애인 맞춤 돌봄 확대 등 돌봄 서비스 강화에 9636억원을 편성했다.
또한,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안전 인프라도 확충한다. 재해예방사업 952억원, 풍수해·지진보험 7억원, 지방하천 정비 2649억원 등 총 3624억원을 안전 기반 구축에 반영했다.
지역 간 격차 해소와 균형발전을 위한 광역철도, 국지도 확포장, 생활 SOC 확충 등 지역개발 사업에는 6560억원을 편성했다.
김 부지사는 "세입 여건은 둔화하고, 복지·돌봄ㆍ안전 등 필수 지출 수요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경기도는 재정의 본래 역할을 흔들림 없이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경기=남상인 기자
머니S 경기취재본부 남상인 입니다. 경기도와 수원, 안양시 등 6개 지자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