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 "김포 계양천 정비는 1석3조 사업"
경기=남상인 기자
공유하기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일 민생경제 현장투어 13번째 방문지로 김포시 계양천 수해상습지 개선사업 현장을 찾아 사업 추진 의지를 밝혔다.
김 지사는 계양천 정비사업이 홍수 예방은 물론 기후대응과 수익 창출까지 할 수 있는 '1석 3조'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계양천 정비사업은) 예산이 1400억원 넘게 드는데 100억 남짓 국비로 받고 나머지는 전액 도비로 하는 사업"이라며 "도민 안전 차원에서 꼭 필요하기 때문에 계획한 대로 2029년에 완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곳 저류지 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서 태양광 발전소로 만들겠다"며 "도민들이 조합원으로 참여해 수익을 가져가실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계양천 정비사업은 김포시 고촌읍 태리에서 운양동 일원에 이르는 계양천 수해예방 사업이다. 도는 도비 1,420억원을 투입해 14만㎡ 규모의 계양저류지 조성, 0.8km 길이 축제공(제방 쌓기), 배수문 1개, 교량 1개 등을 설치할 예정이다. 지난달 31일 착공했으며 2029년 10월 준공 예정이다.
이 저류지는 태풍이나 집중호우 시 계양천 수위를 일시적으로 담아둬 홍수 피해를 예방하는 핵심 역할을 하게 된다.
도는 2014년 국토교통부 '도시하천 유역종합치수계획' 변경에 따른 하천기본계획 변경을 시작으로, 2017년 이후 총사업비 조정, 타당성 재조사 등 사전절차 진행과 2023년 12월 하천공사 시행계획 고시 및 보상 협의 절차를 진행하는 등 본격적인 사업 기반을 마련해 왔다.
도는 이번 하천정비 사업에 '이익공유형 공공RE100(태양광발전)'을 도입해 추진한다. 계양천 저류지 내 태양광 패널 565개를 설치하고, 저류지 아래쪽에 산책로와 풋살장 등을 조성해 친환경 수변공원을 만드는 사업이다.
발전량은 약 10.8MW로 연간 생산량은 약 15GWh에 이른다. 이는 4인 가구 기준 4000세대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도는 도민 5만 명 이상이 참여하는 이익공유형 협동조합 컨소시엄을 기획하고 발전 수익을 참여 도민에게 배당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경기=남상인 기자
머니S 경기취재본부 남상인 입니다. 경기도와 수원, 안양시 등 6개 지자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