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건설 R&D 투자 '1%'… 안전관리 규제의 한계
장동규 기자
공유하기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각종 규제 강화에도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줄어들지 않았다는 통계가 확인된다. 사고는 수습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규제뿐 아니라 노동자의 협력, 그리고 기술 투자가 함께 작동해야 한다.
올 상반기 10대 건설업체(삼성물산·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대우건설·DL이앤씨·GS건설·HDC현대산업개발·포스코이앤씨·롯데건설·SK에코플랜트)의 매출 대비 연구개발(R&D) 투자비는 평균 0.7%에 불과했다. 매출의 1%에 미치지 못하는 기술 투자비가 건설산업의 현실을 보여준다.
정부가 인공지능(AI) 응용사업에 수조원을 투자하고 기업들은 안전관리 시스템에 드론 감시, 스마트 헬멧 등 기술을 적용하려 노력하고 있다. 해외 현장에서는 이 같은 안전관리 자동화가 이미 표준으로 자리잡았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말이다.
하지만 국내 건설업체들은 쉽사리 대규모 투자에 나서지 못한다. 수년째 지속돼온 건설경기 침체와 원가 부담, 실적 하락 등으로 R&D 예산을 오히려 줄이는 실정이다. 한 대형 건설업체 관계자는 "안전기술에 대한 투자가 필요한 것을 알지만, 전문경영인 체제에선 실적 방어가 더 중요하므로 R&D 예산을 늘리기가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총수 경영 체제가 아닌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임기는 통상 3년으로 경영실적에 따라 연임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환경에선 고수익 수주와 영업이익률에 치중할 수밖에 없다. 눈앞의 실적을 보장하지 않는 R&D 투자는 후순위가 되는 것이 당연하다.
정대기 대우건설 기술연구원장은 "안전기술은 한 번의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며 "현장의 인식과 문화가 바뀌어야 지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기업에 대한 처벌만이 아닌 기술개발에 좀더 힘을 써야 한다. 기술 인센티브와 공동 연구 플랫폼 구축 등 구조 지원을 병행할 수 있다. 제도와 기술이 한 팀이 되어 움직여야 구조의 문제를 푸는 데 다가설 수 있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산업재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한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학영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군포)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현대건설 17명, 롯데건설 14명, 대우건설 13명의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올 초 현대엔지니어링과 포스코이앤씨, DL건설, GS건설, 대우건설, 삼성물산 등이 시공한 현장에서도 사고가 잇따랐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속담이 있는데, 건설현장 사고 예방은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이뤄지기가 힘들다. 정부가 지원을 고민하고 기술 발전에 협력해야 하며 외국인 이주노동자 교육 등 풀어야 할 문제가 매우 많다.
올 상반기 10대 건설업체(삼성물산·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대우건설·DL이앤씨·GS건설·HDC현대산업개발·포스코이앤씨·롯데건설·SK에코플랜트)의 매출 대비 연구개발(R&D) 투자비는 평균 0.7%에 불과했다. 매출의 1%에 미치지 못하는 기술 투자비가 건설산업의 현실을 보여준다.
정부가 인공지능(AI) 응용사업에 수조원을 투자하고 기업들은 안전관리 시스템에 드론 감시, 스마트 헬멧 등 기술을 적용하려 노력하고 있다. 해외 현장에서는 이 같은 안전관리 자동화가 이미 표준으로 자리잡았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말이다.
하지만 국내 건설업체들은 쉽사리 대규모 투자에 나서지 못한다. 수년째 지속돼온 건설경기 침체와 원가 부담, 실적 하락 등으로 R&D 예산을 오히려 줄이는 실정이다. 한 대형 건설업체 관계자는 "안전기술에 대한 투자가 필요한 것을 알지만, 전문경영인 체제에선 실적 방어가 더 중요하므로 R&D 예산을 늘리기가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총수 경영 체제가 아닌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임기는 통상 3년으로 경영실적에 따라 연임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환경에선 고수익 수주와 영업이익률에 치중할 수밖에 없다. 눈앞의 실적을 보장하지 않는 R&D 투자는 후순위가 되는 것이 당연하다.
정대기 대우건설 기술연구원장은 "안전기술은 한 번의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며 "현장의 인식과 문화가 바뀌어야 지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기업에 대한 처벌만이 아닌 기술개발에 좀더 힘을 써야 한다. 기술 인센티브와 공동 연구 플랫폼 구축 등 구조 지원을 병행할 수 있다. 제도와 기술이 한 팀이 되어 움직여야 구조의 문제를 푸는 데 다가설 수 있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산업재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한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학영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군포)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현대건설 17명, 롯데건설 14명, 대우건설 13명의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올 초 현대엔지니어링과 포스코이앤씨, DL건설, GS건설, 대우건설, 삼성물산 등이 시공한 현장에서도 사고가 잇따랐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속담이 있는데, 건설현장 사고 예방은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이뤄지기가 힘들다. 정부가 지원을 고민하고 기술 발전에 협력해야 하며 외국인 이주노동자 교육 등 풀어야 할 문제가 매우 많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장동규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장동규 기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