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이 미국 내 세노바메이트 판매 호조로 올 3분기 70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사진=SK바이오팜


SK바이오팜이 올해 3분기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의 미국 시장 내 가파른 성장세를 바탕으로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영업이익을 거뒀다고 4일 밝혔다.


SK바이오팜의 올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0.4% 증가한 1917억원, 영업이익은 262.4% 늘어난 701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464억원)를 50% 이상 상회했다.

뇌전증 혁신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1.9% 성장한 1722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3분기 누적 매출 4595억원으로 이미 작년 연간 매출을 뛰어넘었다. 남은 4분기에 3분기 정도의 매출만 기록하면 연간 가이던스 상단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기대된다.


SK바이오팜의 이번 실적 성장은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매출이 주도했다. 전 분기 대비 기타 매출이 감소하고 판관비가 증가했음에도 영업이익이 증가한 것은 이익률이 높은 미국 엑스코프리 매출 증대에 따라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확대된 결과이다.

올 들어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처방 수 증가 폭이 커지는 가속 성장이 확인되고 있으며 이는 신규 처방 환자 수(NBRx) 콘테스트, 소비자 직접 광고(DTC), 처방 차수를 앞당기는 'Line of Therapy' 캠페인 등 마케팅 강화의 성과로 지난 분기부터 NBRx가 한 단계 성장한 결과로 분석된다. SK바이오팜은 엑스코프리의 가속 성장을 위한 신규 영업 전략과 마케팅 활동을 지속 강화할 예정이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적응증 및 연령 확대를 통해 시장 확장을 노리고 있다. 지난 9월 연초 계획보다 빠르게 일차성 전신 강직-간대발작(PGTC)으로의 적응증 확장에 대한 임상 3상 탑라인 결과를 확보하며 약효와 안전성을 확인했다. 임상 세부 결과는 오는 12월 2025 미국뇌전증학회(AES)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처방 연령층 확대를 위해 소아 연령 확장 안전성 임상은 최근 환자 모집을 완료했고 현탁액 제형에 대한 신약승인신청서(NDA)를 연내 제출할 계획이다.

지난 3일 동아ST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한 세노바메이트의 NDA가 승인됐다. 작년 말 이그니스 테라퓨틱스의 중국 NDA 제출에 이어 지난 9월 일본 파트너사 오노약품공업이 일본 NDA를 제출로 올해 말부터 내년에 걸쳐 한국∙중국∙일본 아시아 3국으로의 진출도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SK바이오팜은 다양한 형태의 협력을 통해 세노바메이트의 뒤를 이을 혁신 신약 확보에 힘쓰고 있다. 고성장 중인 세노바메이트의 매출로 확보한 현금 흐름을 바탕으로 신규 모달리티 확장과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균형 잡힌 빅 바이오텍'으로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