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1차관 내부 승진에 무게… HUG·LH 기관장 인사 속도
국토 산하 공공기관 사장 선임 착수… 김세용 교수, 국토1차관설 제기
최성원 기자
공유하기
이재명 정부 국정철학을 수행할 국토교통부 제1차관과 주요 공공기관장 공백이 장기화됨에 따라 후임 인선에 대한 관심이 증폭된다. 주거 안정을 위해 공공주택 공급의 핵심 역할을 담당한 주택도시보증공사(HUG)·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의 수장들이 사의를 표명한 후에도 국정감사 종료까지 장시간 인사 교체가 지연돼 국정 공백의 우려가 커지면서 빠른 인선이 요구되고 있다.
11일 관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현재 국토부 1차관 후임 인사의 검증 절차를 진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부 1차관은 도시개발·주택공급·건설정책을 총괄하며 정부의 9·7 공급대책과 10·15 규제 등 부동산 핵심 정책들의 후속 조치를 진행하는 역할을 맡는다. 지난달 24일 이상경 전 차관이 갭투자 논란에 책임을 지고 사퇴함에 따라 20일 가까이 공백이 이어지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대통령실이 1차관과 대변인의 인사 검증을 진행하는 것으로 안다"며 "조직 안정과 부동산 정책 추진을 위해 빠른 인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내부에서 인선이 이뤄질 가능성에 좀 더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외부 인사로는 김세용 고려대 건축학과 교수가 거론된다. 김 교수는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와 경기주택도시공사(GH) 사장을 역임했고 LH 사장 후보로도 거론되는 인물이다.
인선 절차는 이르면 다음 주에 마무리될 전망이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실이 진행하는 인사여서 예측은 어렵다"며 "내부에선 다음 주 중 발표를 기대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국토부 노동조합 관계자는 "부동산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기 위해서는 내부 사정이나 정책 방향을 잘 아는 사람이 중요하다"라며 "관료 출신의 선임을 바라고 있다"고 설명했다.
HUG, 내년 1월 새 사장 취임 전망… '재무구조 안정' 핵심 과제
국토부 차관 인선이 완료된 후에 HUG와 LH 등 산하기관장 인사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HUG는 지난 6월 유병태 전 사장이 사의를 표명한 후 5개월째 공석인 상태로 신임 사장 공모 절차에 착수했다. 현재는 윤명규 자산관리본부장이 직무대행을 맡고 있다.
HUG는 현재 임원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를 구성, 지원자를 3~5배수로 압축하고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가 2~3배수로 최종 후보를 선정한다. 이후 주주총회와 국토부 장관 제청 절차를 통해 대통령이 최종 임명한다.
지원자로는 최인호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권대철 건설기술교육원장, 송종욱 전 광주은행장, 오동훈 서울시립대 교수 등이 거론된다. 신임 사장의 핵심 과제로는 실적 개선과 재무구조 정상화가 요구된다. HUG는 전세사기 여파로 2년 연속 경영평가 미흡(D) 등급을 받았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HUG의 영업이익은 2022년(-2428억2100만원) 적자 전환 후 2023년(-3조9962억2500만원) 2024년(-2조1924억4300만원) 잇따라 대규모 적자를 냈다. 올해 상반기는 -1406억300만원 적자로 다소 개선됐다.
사장 인선은 내년 1월 마무리될 전망이다. HUG 관계자는 "재정 건전성 확보가 시급한 만큼 새 사장의 책임이 무거울 것"이라며 "새해 1월에는 임명 절차가 끝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LH 개혁안 발표와 사장 선임 맞물릴 듯
국토부 산하 최대 공공기관인 LH도 사장 공모 절차를 시작했다. 지난달 31일 이한준 전 사장의 사표가 최종 수리, 임추위 구성이 진행 중이다. LH 관계자는 "통상 2~3개월 정도가 소요되기에 빠르면 연말, 늦으면 내년 초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이헌욱 변호사가 유력 후보로 거론된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이 성남시장으로 재직한 2015년부터 동행한 파트너로 2019년엔 GH 사장을 지냈다. 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기본주택을 설계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해당 내용에 대해 LH 측은 "현재는 임추위 구성 등 공모 관련 절차를 차질없이 수행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 9·7 공급대책의 이행에 차질을 우려하고 있지만 LH 관계자는 "공공주택 공급뿐 아니라 재개발·재건축 등 주요 사업의 진행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LH를 통해 공공택지를 직접 개발·시행해 2030년까지 6만가구의 착공 계획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