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제강점기 때 일본 사도광산에 강제동원된 한국인 피해자 추도식을 오는 21일 별도로 진행할 예정이다. 사진은 강제징용 피해자 유가족이 지난해 11월25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 소재 사도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 제4상애료에서 열린 사도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에서 헌화한 모습. /사진=뉴스1


정부가 일제강점기 때 일본 사도 광산에 강제 동원된 한국인 피해자 추도식을 개최한다.

13일 뉴스1에 따르면 외교부는 오는 21일 일본 니키타현 사도시에서 정부 주관으로 사도 광산 강제 동원 한국인 피해자 추도식을 진행한다. 추도식에는 정부 대표로 이혁 주일본대사가 참석하고 유가족, 정부 관계자들도 참석할 예정이다.


추도식 이후에는 한국인 노동자 관련 주요 장소들을 방문해 사도 광산 한국인 강제 동원 피해자들의 희생을 추모할 계획이다.

사도 광산 추도식은 지난해 7월 사도 광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때 한국이 이를 수용하는 대신 일본이 약속한 후속 조치 중 하나다. 추도식은 일본이 주최하며 매년 7~8월 사도 광산 현지에서 열기로 했다. 지난해에는 일정이 미뤄져 11월에 행사가 열렸는데 일본이 추도사에서 징용 '강제성'을 인정하는 표현을 넣지 않아 행사 하루 전 정부가 불참을 결정했다.


이에 일본이 주최하는 행사에 우리 관계자가 참석하지 않는 '반쪽짜리'로 열렸고 우리 정부는 별도로 추도식을 개최했다.

올해도 마찬가지로 일본이 추도사에 강제성 관련 표현을 넣지 않자 정부는 지난 9월4일 외교채널을 통해 일본 측에 불참 의사를 전달했다. 이번에도 우리 정부는 별도로 추도식을 주최하게 됐다. 정부는 일본 측이 진정성 있는 추도사 등 전향적 태도 변화가 있을 때까지 협의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