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역밀착형 건강돌봄 체계 본격화
사회적처방 건강관리소·원스톱 응급의료 플랫폼 전국 첫 선
광주=정태관 기자
공유하기
광주광역시가 지역 중심의 건강돌봄 체계를 본격 추진하며 시민이 일상 속에서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새로운 공공의료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통합건강센터 시범사업을 비롯해 사회적 처방 건강관리소, 원스톱 응급의료플랫폼, 공공심야어린이병원·달빛어린이병원 등 다양한 공공의료 인프라가 자리 잡으며 삶 속 돌봄 체계가 한층 촘촘해지고 있다.
17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기준 동·서구 통합건강센터에는 총 334명이 등록해 정기적인 건강관리를 받고 있으며 이 중 65세 이상 고령층이 71%를 차지해 센터가 노년층의 핵심 건강관리 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시는 동·서구를 시작으로 통합건강센터 6곳을 운영 중이며 시범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타 구로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치료 중심을 넘어 예방 중심의 지속 가능한 건강관리 모델을 확립한다는 목표다.
통합건강센터는 기존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건강생활지원센터 등이 개별적으로 제공하던 서비스를 한 공간에 통합해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센터는 기초검사와 생활습관 평가를 통해 개인별 건강 상태를 종합 진단하고 통합건강평가, 치매검진, 정신건강, 금연, 만성질환 관리, 영양·구강 건강, 방문건강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상시 제공한다.
지난달 31일에는 광산구 빛고을국민체육센터에 '사회적 처방 건강관리소 2호점'이 문을 열었다. 이는 의료 처방뿐 아니라 운동, 소통, 관계 형성 등 비의료적 지원을 연계해 시민의 생활 속 건강을 돕는 광주형 돌봄 모델이다.
광주시가 자체 구축한 '원스톱 응급의료플랫폼'은 12월 시범운영 종료 후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다. 환자 중증도, 응급실 병상, 의료자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으로 반복적인 응급실 전원을 줄이고 의료진 간 즉각적인 협력을 가능하게 해 응급 대응의 효율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야간·휴일 소아진료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운영 중인 공공심야어린이병원과 달빛어린이병원은 올해 이용 환자가 6만 명을 넘겼다. 낮은 진료비와 신속한 대응으로 시민 만족도가 높으며 공공심야어린이병원은 광주가 전국 최초로 도입해 여수·군산 등 타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강윤선 시 공공보건의료과장은 "광주형 건강돌봄 모델을 꾸준히 확대해 '어디서나, 누구나, 건강하게'를 실현하는 건강활력도시 광주를 만들겠다"며 "시민 누구나 아플 때는 마음 편히 진료받으며 건강한 일상을 보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광주=정태관 기자
머니S 호남지사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