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동북부 공공의료원 설립 타당성조사 중간보고회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앞줄 왼쪽에서 두 번째)가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공공의료원은 국방이나 치안, 소방과 같은 공공재이기 때문에 예타와 같은 비용과 편익 문제로 볼 수 없다"며 동북부 공공병원의 신속한 설립 의지를 재차 밝혔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지난 18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경기 동북부 공공병원 설립 타당성 및 민간투자 적격성 조사'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서 동북부 공공병원 설립의 타당성을 중간 점검하고 관계자들과 설립 방향을 논의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달달버스를 타고 달려간 양주와 남양주 현장에서 공공의료에 대한 주민들 갈증과 열망을 피부로 느끼고 큰 사명감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만났던 구십에 가까운 할머님이 '살아생전에 공공의료원 혜택 볼 수 있게 해달라'는 말씀이 기억난다"면서 "오늘 중간보고를 계기로 가장 빠른 시일에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힘을 모아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경기도는 현재 남양주시 호평동 백봉지구와 양주시 옥정신도시 내 종합의료시설부지에 각각 300병상이 넘는 공공의료원 설립을 추진 중이다. 이날 중간보고회에서는 지역 기초현황 분석, 지역주민 설문조사 결과, 병상수요 추정, 기능·역할 설정, 진료 계획 등이 보고됐다.

지역 기초 현황과 지역주민 의견 조사 분석 결과 의정부권(의정부·양주·동두천·연천)과 남양주권(남양주·구리·양평·가평) 모두 응급의료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주 지역은 심뇌혈관센터, 남양주 지역은 소아응급센터 요구가 뒤를 이었다.


경기도는 앞서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을 찾아 남양주·양주 공공의료원 설립 요청, 제3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 반영, 예타 면제 등을 건의한 바 있다.

도는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내년 2월 최종보고를 마친 후 보건복지부와 예비타당성 조사 협의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의료와 돌봄이 통합된 '혁신형 공공병원' 모델 실현에 나설 방침이다.


이날 보고회에는 최민희 국회의원과 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 남양주시·양주시 관계자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