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18일 포천 대진대학교에서 열린 포천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 입학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교육청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다문화학생의 안정적인 공교육 진입을 돕기 위해 '한국어 선 이수제'와 '통합 다문화교육'을 경기도 전역으로 확산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18일 포천 대진대학교에서 열린 포천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 입학식을 계기로 오는 12월부터 두 정책을 연계 운영하며 확산에 나선다고 19일 밝혔다.

도 교육청은 다문화학생의 한국어 교육과 안정된 교육 환경 구축을 위해 한국어 집중교육을 위한 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과 교육부 주관 자기주도학습센터를 결합한 전국 최초의 통합 다문화교육 모델을 운영한다.


통합 다문화교육은 한국어 집중교육을 위한 '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과 교육부 주관 자기주도학습센터를 결합한 전국 최초 통합 다문화교육 모델이다. '한국어 선이수제'는 공교육 진입 전 다문화학생의 한국어교육 사전 이수 정책이다.

이날 입학식에는 임태희 교육감을 비롯해 백영현 포천시장, 김유열 EBS 사장, 장석환 대진대학교 총장, 경기도의회 윤충식・김성남 의원, 학생, 교원, 학부모 등 130여 명이 참석했다.


포천 지역은 지난 10월 관내 7개 자기주도학습센터를 개소했다. 이번 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과의 통합 교육 기반 조성으로 기존 방과 후에만 활용되는 공간을 일과 중 다문화학생을 위한 한국어 집중교육과 적응을 돕는 공간으로 활용하게 된다.

또한 포천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은 다문화학생의 공교육 진입 전 한국어 집중교육을 사전 이수하는 한국어 선이수제를 최초로 시범 운영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학생이 언어 미해득으로 인한 학습 부진을 해소하고 학교 적응을 돕는다. 시범 운영 효과성 검증 후 도내 전 지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날 임태희 교육감은 축사에서 "다문화학생이 언어 장벽으로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는 현실을 외면할 수 없었다"면서 "공교육 진입 전 한국어 기초를 다지는 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을 만들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시범 운영 결과 한국어 집중교육을 받은 다문화학생의 학교 수업 참여가 개선됐다"면서 "한국어 선 이수제와 통합 교육을 경기도 전역으로 확산하겠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포천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은 포천시청이 주도적으로 운영하며 다문화 교육력을 높이는 지역 연계 모델로 운영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