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대구 엑스코에서 제8회 국제철강 및 비철금속산업전(SMK 2025) 개막식이 열렸다./사진제공=경북 포항시



'제8회 국제철강 및 비철금속산업전(SMK 2025)'이 19일 대구 EXCO에서 개막하며 미래 철강산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외 업계의 전략 교류가 본격화됐다.


경북도와 포항시, 한국철강협회, 한국비철금속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21일까지 3일간 진행된다. 올해 행사는 '미래를 위한 변화(Change for the Future)'를 주제로 급격한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AI 기반 제조혁신 시대에 대응할 새로운 철강산업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개막식에는 장상길 포항시 부시장, 오충종 산업통상자원부 다자통상법무관 등 정부 및 기관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해 국내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올해 전시는 국내외 95개 기업이 320개 부스를 구성해 첨단 금속 소재, 이차전지·배터리 소재, 수소·에너지 전환 기술, 탄소중립 대응기술 등 미래 전략산업 핵심 기술을 선보였다. 포스코, 현대제철, 풍산 등 대표 철강 관련 기업들도 참가한다.

AI 기반 스마트 제조기술, 친환경 에너지 대응 전략 등을 다룬 특별관과 기술세미나도 운영되며 산업 전환기에 필요한 기술 흐름을 공유하는 장이 마련됐다.


특히 포항시는 올해 처음으로 지역 기업·기관·대학을 대상으로 전시회 부스 임차비를 지원했다. 포항 소재 기업은 최대 2개 부스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넥스틸, 제일테크노스,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포스텍 등 총 22개 기관·기업이 지원을 받아 참가했다.

또한 KOTRA와 공동으로 미주·유럽·인도·아시아 등 14개국 49개 해외 바이어가 참여하는 수출상담회가 열리면서 국내 철강·비철금속 기업들의 글로벌 수출 확대와 해외투자 유치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장상길 포항시 부시장은 "세계 통상 질서가 빠르게 재편되는 상황에서 철강산업은 더욱 정교한 전략과 혁신이 요구된다"며 "포항시는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계기로 지역 기업과 함께 재도약의 기반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