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신공항 공기 6년 연장에 부산 민심 '부글부글'
"안전위한 불가피한 선택" 정부 해명에 "약속 파기" 강력 반발
부산=김동기 기자
공유하기
정부가 가덕도 신공항의 부지조성 공사 기간을 기존 84개월(7년)에서 106개월(8년 10개월)로 22개월 연장한다고 발표하면서 부산 지역 사회가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2030년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해 2029년 조기 개항을 목표로 했던 계획이 사실상 2035년 이후로 밀려나면서 시공사였던 현대건설의 사업 포기 사태까지 불러온 공사 기간 문제가 지역 최대 현안으로 떠올랐다. 부산시와 지역 시민단체들은 "정부가 스스로의 결정을 뒤집은 납득할 수 없는 처사"라며 연일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공사를 재입찰하며 공사 기간을 106개월로 확정했다. 해상 연약지반의 안정화에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결정이라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하지만 이는 당초 우선협상대상자였던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주장했던 공사 기간 108개월과 불과 2개월 차이로 사실상 시공사의 요구를 뒤늦게 수용한 셈이어서 논란을 키우고 있다. 앞서 국토부는 현대건설이 제시한 108개월 공기에 대해 "입찰공고 조건을 임의로 바꿀 수 없다"며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했고 결국 현대건설은 지난 5월 사업을 포기했다. 이로 인해 사업이 수개월간 표류한 끝에 나온 결론이 결국 현대건설의 주장과 대동소이하게 되자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현대건설은 공기 연장에도 불구하고 재입찰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일이 이렇게 꼬이자 지역 시민단체들의 반발은 거세지고 있다.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등 12개 단체는 지난 24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스스로 초래한 혼선과 불신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공기 연장이 불가피하다면 활주로를 2본으로 늘리는 등 신공항의 확장성을 확보하는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정부의 방침을 손바닥 뒤집듯이 바꾸는 행태는 신뢰를 잃게 한다"며 이번 사태를 초래한 국토부 관계자에 대한 문책과 정부 차원의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부산시도 정부 발표에 즉각 "자기모순적인 결정"이라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2023년 전문가 토론과 충분한 검증을 거쳐 공사 기간을 84개월로 정했던 것이 국토부"라며 "과학적·실증적 근거도 없이 공기를 연장하는 것은 건설업계의 벽을 넘지 못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부산=김동기 기자
머니s 영남지사 김동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