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상공회의소 전경/사진=머니S DB.
장기적인 내수 부진과 수익성 등의 악화로 광주·전남지역 제조업 10곳 중 7곳은 올해 경영실적이 목표에 미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23일 광주상공회의소가 광주·전남 소재 제조기업 13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 경영실적 전망과 애로요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70.1%가 "올해 연간 매출이 목표를 미달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목표 수준 달성'은 24.6%, '초과 달성'은 5.3%에 그쳤다.

매출 증대의 가장 큰 애로요인으로는 '내수시장 침체'(57.5%)가 가장 많았고 '수출시장 경기 둔화'(23.9%), '시장 경쟁상황 심화'(11.2%)가 뒤를 이었다. 이는 내수 부진과 글로벌 경기 둔화가 동시에 작용하면서 지역 제조업의 매출 기반이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영업이익 전망 역시 70.9%의 기업이 목표치 미달을 예상했으며 영업수지 실적은 47.0%가 '손익분기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답변해 수익성 개선이 쉽지 않은 상황임을 시사한다.

수익성을 악화시킨 가장 큰 요인으로는 '원자재가 상승'(41.8%), '인건비 상승'(20.1%), '금융비용 증가'(15.7%)등으로 조사됐다.


기업이 가장 우려하는 입법 분야(복수응답)로는 '법인세 등 기업비용 증가'(56.7%), '상법·공법거래법 등 규제 강화'(53.7%), '노사관계 부담 증대'(33.6%)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추가적인 제도와 비용 부담이 가중될 경우 기업활동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광주상의측은 분석된다.

채화석 광주상의 상근부회장은 "지역 기업들이 장기적인 내수 부진과 비용 상승으로 한계 상황에 놓여있다"며 "세제·금융 부담 완화 등 기업 활동 여건 개선과 함께 산업 구조 전환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시급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