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넥스트레이드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넥스트레이드 거래량은 1억6780만9000주를 기록했다. 거래대금은 11조270억400만원이다.
이는 지난 3월4일 넥스트레이드 첫 거래일 대비 각각 386배, 546배 늘어난 수치다. 당시 넥스트레이드의 거래량은 43만4000주, 거래대금은 202억400만원을 기록했다.
점유율도 빠르게 성장하며 한국거래소를 위협하고 있다. 지난달 넥스트레이드의 한 달 거래량은 38억3266만주, 거래대금은 166조5550억700만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한국거래소 전체 거래량은 297억5668만1000주, 거래대금은 423조4272억4600만원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넥스트레이드의 시장점유율은 거래량 기준 약 13%, 거래대금 기준 39%로 나타났다.
출범 첫 달인 지난 3월 넥스트레이드의 한 달 거래량은 3억1862만9000주, 거래대금은 13조5633억34만원을 나타냈다. 같은 달 한국거래소의 한 달 거래량은 240억9232만1000주, 거래대금 343조5148억3200만원이다.
지난 3월 넥스트레이드의 거래량 점유율은 1.3%, 거래대금 점유율은 4%였다. 지난 3월 대비 9월 넥스트레이드의 점유율은 각각 10배, 9배 이상 상승했다.
넥스트레이드 수수료는 메이커(지정가 주문) 0.001%, 테이커(시장가 주문) 0.0018% 수준으로 한국거래소 수수료 0.0023% (단일요율)보다 20~40%가량 저렴하다.
거래시간도 한국거래소 대비 약 2배에 달한다. 한국거래소는 오전 9시부터 오후3시30분까지 정규장을 운영하는 반면 넥스트레이드는 ▲프리마켓(오전 8시~8시50분) 동안 ▲메인마켓(오전 9시~오후3시30분) ▲애프터마켓(오후3시30분~오후8시)로 하루 12시간 운영한다.
체결 속도와 호가 경쟁력 역시 기관과 전문 투자자 유입의 배경으로 꼽힌다. 넥스트레이드는 자체 매칭엔진 구축을 통해 한국거래소 대비 평균 체결지연을 약 20~25% 단축했다. 또 IOC(즉시 체결 또는 취소)와 FOK(전략 즉시 체결 또는 전량 취소)등 글로벌 거래소에서 통용되는 TIF(주문 유효기간) 옵션을 모두 지원해 거래 효율성을 대폭 높였다.
이 같은 강점이 맞물리면서 넥스트레이드는 단순 보조시장이 아닌 실질적 경쟁시장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다. 넥스트레이드의 향후 성장세도 기대된다.
넥스트레이드는 오는 27일부터 프리·메인·애프터마켓 전 구간에 참여하는 증권사가 19곳에서 31곳으로 확대된다. 상상인증권·리딩투자증권·흥국증권이 신규로 합류하고 카카오페이증권·IBK투자증권·부국증권 등 9곳이 메인마켓으로 참여 범위를 넓힌다. 전체 거래에 참여하는 증권사가 늘어나면서 투자자 선택권 확대 및 거래비용 절감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넥스트레이드 관계자는 "거래시간 연장과 낮은 수수료 제공 등이 기존 주식시장에 패러다임을 가져올 수 있었다"며 "기존 시장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투자자들의 니즈를 충족한 것이 성장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증권사 등과 협의를 통해 신서비스를 모색하고 기존 서비스도 더욱 업그레이드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거래시간 확대와 시스템 효율성 개선, 주문 유형 다양화 등 추가 개편안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고 밝혔다.
강소현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넥스트레이드 출범은 국내 자본시장에서 거래시장 경쟁 환경 조성과 서비스 다변화라는 측면에서 중대한 전환점을 마련했다"며 " 투자자의 선택권을 확대하는 동시에 거래 서비스의 다양성과 유연성을 제고하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시장 전반의 혁신과 효율성 제고로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