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구청장 '동반 승리' 노리는 국민의힘
국민의힘에게 북구는 반드시 되찾아야 할 '아픈 손가락'이다. 지난 4월 총선에서 부산 지역을 싹쓸이하는 압승을 거두고도 유일하게 북구갑에서 서병수 위원장이 전재수 의원에게 패배하며 자존심을 구겼다. 만약 전 장관의 출마로 보궐선거가 현실화된다면 국민의힘은 중앙당 차원의 총력 지원을 통해 이곳 탈환에 사활을 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북구청장 후보 결정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은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구청장 선거의 '동반 승리'를 위해 지난 총선에서 전 장관에게 패배한 서병수 위원장을 다시 한번 등판시킬 가능성이 높다. 전재수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사라진 상황에서 서 위원장의 중량감이라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계산이다.
이러한 '서병수 재등판' 시나리오는 북구청장 후보 공천의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다. 국민의힘은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구청장 선거의 '동반 승리'를 위해 서병수 위원장과 최고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를 구청장 후보로 낙점할 가능성이 있다. 현직인 오태원 북구청장의 사법 리스크와 손상용 전 부산시의회 부의장 등 기존 후보군에 대한 평가도 이러한 전략적 구도 아래에서 다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수성'과 '확장' 기로에 선 민주당
더불어민주당은 전재수 장관의 결단에 따라 선거 전략이 완전히 달라진다. 전 장관이 부산시장에 출마한다면 민주당은 북구청장직 '탈환'과 국회의원직 '수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정명희 전 북구청장의 재도전이 유력하게 거론되는 가운데 북구갑 지역 노기섭 전 부산시의원, 문영남 전 북구의원이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들은 현역 국회의원 전재수 장관의 지역구 인사들로 공천과정에서 전 장관의 의중이 공천 과정에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회의원 보궐선거라는 변수가 생기면서 내부 교통정리가 불가피해졌다. 구청장 출마를 준비하던 일부 정치 신인이나 잠재적 후보군이 국회의원 보궐선거로 눈을 돌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민주당은 부산 유일의 현역의원 지역구를 지켜내고 구청장직까지 다시 가져오기 위해 후보 간 역할 분담과 전략적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됐다. 전재수라는 강력한 구심점이 빠진 상태에서 치러질 두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한 최적의 대진표를 짜는 것이 민주당의 최대 과제로 떠올랐다. 이처럼 내년 북구청장 선거는 전 장관의 부산시장 출마 여부에 따라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연동되는 '확전' 양상을 띠면서 여야 모두에게 총력전이 불가피한 최대 승부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