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수신료 인상 또 추진…국회 통과 미지수
온라인뉴스팀
3,879
공유하기
KBS가 수신료를 현재 2500원에서 4000원으로 1500원 인상을 추진한다.
KBS 수신료는 1981년 2500원으로 결정된 이후 32년간 동결됐다. 2003년과 2007년, 2011년에 각각 수신료 인상이 추진됐으나 야당의 반대 등으로 무산됐다.
그러나 이번 인상안에 대한 논란이 일고있다. 이사회에 이길영 이사장 등 여당 추천 이사 7명만 참석하고 야당 추천 이사 4명이 불참한 가운데 인상안을 확정됐기 때문이다.
인상안이 여야 추천 이사들 간 합의를 보지 못한 채 강행 처리된 데다 시민단체 등이 수신료 인상을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국회 통과 과정에서 논란이 거셀 것으로 예상된다.
KBS의 수신료 인상 추진에 대해 누리꾼들의 반발도 거세다. 누리꾼들은 "공영방송 역할부터 제대로 해라", "국민들이 왜 시청료 인상반대 하는지 생각 좀 해봐라. 그러면 답이 나올 것이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 포털 사이트 다음 아고라 청원방에는 'KBS 수신료 거부 방법 알려드립니다'라는 게시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한편 전국언론노조, 민주언론시민연합, 언론개혁시민연대, 새언론포럼 등 언론시민단체들은 서울 여의도 KBS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 KBS에 필요한 것은 수신료 인상이 아니라 국민의 편에 서서 공영방송 역할에 어떻게 충실할지 고민하고 성찰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KBS 이사회는 10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KBS 수신료를 1500원 올려 4000원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최종 의결했다.
수신료 인상안은 의결일로부터 60일 이내에 방송통신위원회가 검토한 후 의견을 첨부해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로 보내게 된다, 이후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최종 확정된다.
![]() |
KBS 수신료는 1981년 2500원으로 결정된 이후 32년간 동결됐다. 2003년과 2007년, 2011년에 각각 수신료 인상이 추진됐으나 야당의 반대 등으로 무산됐다.
그러나 이번 인상안에 대한 논란이 일고있다. 이사회에 이길영 이사장 등 여당 추천 이사 7명만 참석하고 야당 추천 이사 4명이 불참한 가운데 인상안을 확정됐기 때문이다.
인상안이 여야 추천 이사들 간 합의를 보지 못한 채 강행 처리된 데다 시민단체 등이 수신료 인상을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국회 통과 과정에서 논란이 거셀 것으로 예상된다.
KBS의 수신료 인상 추진에 대해 누리꾼들의 반발도 거세다. 누리꾼들은 "공영방송 역할부터 제대로 해라", "국민들이 왜 시청료 인상반대 하는지 생각 좀 해봐라. 그러면 답이 나올 것이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 포털 사이트 다음 아고라 청원방에는 'KBS 수신료 거부 방법 알려드립니다'라는 게시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한편 전국언론노조, 민주언론시민연합, 언론개혁시민연대, 새언론포럼 등 언론시민단체들은 서울 여의도 KBS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 KBS에 필요한 것은 수신료 인상이 아니라 국민의 편에 서서 공영방송 역할에 어떻게 충실할지 고민하고 성찰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