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비밀번호 6자리로 확대
배현정 기자
4,543
공유하기
이르면 연내 신용카드와 은행 통장 비밀번호가 기존 4자리에서 6자리로 바뀐다. 최근 잇따르는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로 부정 사용 우려가 커져서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는 여신금융협회 등과 함께 신용카드의 비밀번호 숫자를 늘리는 작업에 착수했다. 그동안 현금인출기(ATM) 프로그램 변경 등의 어려움이 있어 논의가 진척되지 못했으나, 최근 포스단말기 해킹사고를 계기로 보안 확대 논의가 급물살을 타게 됐다.
금융당국은 우선 보안 강화가 시급한 신용카드의 비밀번호 숫자를 6자리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어 은행 통장과 인터넷뱅킹 등의 비밀번호도 6자리로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1월 말부터 3월까지 시행됐던 금융사기예방서비스 일시적 한도 축소도 확대할 예정이다. 모든 은행이 한도 축소된 금액을 다시 늘리지 않고, 축소된 수준을 상시 적용토록 한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들은 1일 100만원 이상 이체 시 전화나 문자메시지 등의 본인 확인 절차를 한 차례 더 거치도록 한다. 기존에는 300만원 이상일 경우 본인 확인 절차가 추가됐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는 여신금융협회 등과 함께 신용카드의 비밀번호 숫자를 늘리는 작업에 착수했다. 그동안 현금인출기(ATM) 프로그램 변경 등의 어려움이 있어 논의가 진척되지 못했으나, 최근 포스단말기 해킹사고를 계기로 보안 확대 논의가 급물살을 타게 됐다.
|
금융당국은 우선 보안 강화가 시급한 신용카드의 비밀번호 숫자를 6자리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어 은행 통장과 인터넷뱅킹 등의 비밀번호도 6자리로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1월 말부터 3월까지 시행됐던 금융사기예방서비스 일시적 한도 축소도 확대할 예정이다. 모든 은행이 한도 축소된 금액을 다시 늘리지 않고, 축소된 수준을 상시 적용토록 한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들은 1일 100만원 이상 이체 시 전화나 문자메시지 등의 본인 확인 절차를 한 차례 더 거치도록 한다. 기존에는 300만원 이상일 경우 본인 확인 절차가 추가됐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