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아파트 매매·전세가 상승폭 확대… 광산구 강세
광주=이재호 기자
공유하기
정부의 금융 규제 완화 등의 영향으로 이번주 광주지역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의 상승폭이 커진 가운데 특히 광산구의 가격 상승률이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KB국민은행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대비 0.06%상승했다.
광주지역은 전주대비 0.07%상승하며 지난주(0.03%상승)보다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특히 광주 광산구는 하남공단, 소촌공단 및 평동공단 근로자 수요가 많은데다 교육환경이 우수한 수완지구로 많은 인구가 유입되며 3주 연속 상승했다.
이어 북구는 0.07%, 남구·서구는 각각 0.01%상승했다
반면 전남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대비 0.04% 하락했다.
전남은 정부의 금융규제 완화 이후 하락폭이 2주 연속 둔화됐지만, 소폭 상승세로 돌아선 가운데 여수가 0.10% 하락하며 시·도 매매가격 하락률 상위 3위를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대비 0.08% 상승한 가운데 광주지역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대비 0.11% 상승하며 지난주(0.02% 상승)에 비해 상승폭이 확대됐다.
광주지역 전세가격 상승폭을 이끈 곳은 '광산구'와 '서구'이다. 광산구(0.20% 상승)는 하남공단, 소촌공단 및 평동공단 근로자 수요와 교육환경이 우수한 수완지구로 수요가 유입되며 3주연속 상승했다.
서구(0.18% 상승)는 2015년 유니버시아드 개최 관련 선수촌아파트 준비로 일부단지가 멸실된 가운데 지역 내 신규입주물량은 전무한 모습을 보이며 전주대비 가격이 상승했다.
광산구와 서구의 전세가격은 5개 광역시 중 전세가격 상승률 상위 두번째, 네번째를 기록했다.
전남지역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대비 보합세를 형성하며 지난주(0.01% 하락)보다 하락폭이 둔화됐다.
22일 KB국민은행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대비 0.06%상승했다.
광주지역은 전주대비 0.07%상승하며 지난주(0.03%상승)보다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특히 광주 광산구는 하남공단, 소촌공단 및 평동공단 근로자 수요가 많은데다 교육환경이 우수한 수완지구로 많은 인구가 유입되며 3주 연속 상승했다.
이어 북구는 0.07%, 남구·서구는 각각 0.01%상승했다
반면 전남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대비 0.04% 하락했다.
전남은 정부의 금융규제 완화 이후 하락폭이 2주 연속 둔화됐지만, 소폭 상승세로 돌아선 가운데 여수가 0.10% 하락하며 시·도 매매가격 하락률 상위 3위를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대비 0.08% 상승한 가운데 광주지역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대비 0.11% 상승하며 지난주(0.02% 상승)에 비해 상승폭이 확대됐다.
광주지역 전세가격 상승폭을 이끈 곳은 '광산구'와 '서구'이다. 광산구(0.20% 상승)는 하남공단, 소촌공단 및 평동공단 근로자 수요와 교육환경이 우수한 수완지구로 수요가 유입되며 3주연속 상승했다.
서구(0.18% 상승)는 2015년 유니버시아드 개최 관련 선수촌아파트 준비로 일부단지가 멸실된 가운데 지역 내 신규입주물량은 전무한 모습을 보이며 전주대비 가격이 상승했다.
광산구와 서구의 전세가격은 5개 광역시 중 전세가격 상승률 상위 두번째, 네번째를 기록했다.
전남지역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대비 보합세를 형성하며 지난주(0.01% 하락)보다 하락폭이 둔화됐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광주=이재호 기자
광주전남지역 경제 소식을 빠르고 정확하게 독자 여러분께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