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사진=머니투데이 DB
삼성전자. /사진=머니투데이 DB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3분기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7일 잠정실적 집계를 통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5.8% 증가한 7조300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기간과 비교해서는 79.80% 오른 수준이다.


이는 시장 예상치 6조6000억원보다 7000억원이나 더 많은 것으로 지난해 3분기 바닥을 찍은 후의 깜짝 실적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 4조605억원으로 저점을 찍은 뒤 지난해 4분기 5조2884억원으로 반등했다. 영업이익은 ▲올해 1분기 5조9794억원 ▲2분기 6조9000억원 ▲3분기 7조3000억원으로 실상 지난해 3분기 이후 ‘V’자 곡선을 그리며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3분기 실적은 스마트폰을 이끄는 IM(IT·모바일)부문의 선전과 디스플레이(DP)부문에서 LCD 부문의 원가 개선이 이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중국과 인도 등에서 중저가 스마트폰 ‘갤럭시J3’, ‘갤럭시J5’ 등으로 판매량을 확대, IM부문의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냈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는 LCD부문에도 호재로 작용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J시리즈에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출하량이 대폭 늘어난 것.


이밖에도 반도체부문은 서버용 모바일용 D램 가격 하락 상황에서 ‘20나노미터 공정’(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으로 원가경쟁력을 확보해 3조5000억원대 영업이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세철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삼성전자는 삼성페이와 갤럭시기어S2로 모바일폰의 차별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향후 스마트폰부문에서 분기 2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유지할 수 있는 발판을 구축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내다봤다.

그는 내년 연간 영업이익 27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스마트폰 사업 정체에도 불구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부품부문에서 이익 개선이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