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익 개정'

토익(TOEIC)이 10년 만에 문제 유형과 문항수를 바꾼다. 듣기영역에서 다수가 대화하는 내용이 새롭게 추가되고 독해 지문 수가 늘어나 수험생들의 체감난이도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토익 출제기관인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는 지난 5일 서울프라자호텔에서 '2016년 신(新)토익' 유형 개정 사항을 발표했다.

전체 문항수는 듣기영역과 읽기영역 각각 100문항씩 총 200문항으로 동일하지만 상대적으로 쉬웠던 파트1과 파트2의 문항수가 줄어들고 파트3의 문항수는 늘어난다. 일부 듣기 영역은 말의 길이는 짧아지고 대화를 주고받는 횟수가 늘어나며, 세 명 이상이 대화하는 내용이 추가된다. 또한 듣기와 함께 도표나 그래프 같은 시각정보를 보고 푸는 문제가 추가되며 대화문과 설명문에서 맥락상 말하는 이의 의도를 이해하는 문제도 새롭게 추가된다.


또한 수험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2개 지문을 연속으로 읽고 문제를 푸는 유형에서 더욱 심화돼 3개 지문을 읽고 풀어야 하는 문제가 추가된다.

펑 유 ETS 토익프로그램 총괄자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영어를 말하고 쓰는 방식이 변하므로 시험 문제도 바뀌어야 한다"며 "현재 통용되는 언어 사용의 실태를 적절하게 반영하고 개인이 갖추어야 할 언어 능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토익 시험 일부를 업데이트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토익 개정' /자료=토익 공식 홈페이지
'토익 개정' /자료=토익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