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vs 이한구, '대표 위에 공관위원장 있다'?
서대웅 기자
2,343
공유하기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준다'는 새누리당의 상향식 공천 방식이 희미해지고 있다. 새누리당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비례대표 공천에서도 상향식 공천 원칙을 지킬 수는 없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다. 김무성 대표로서는 "정치 생명을 걸고" 추진해왔던 터라 당내에서 힘을 잃어가고 있는 모양새다.
이 위원장은 8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비례대표 선정 절차를) 다 밟아서 하면 좋겠지만 지금은 시간이 없다. 서류심사만 하기도 벅차서 우리가 원하던 방식으로는 못 한다"며 상향식 공천에 반대하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이는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준다'는 구호로 지역구는 물론 비례대표도 직역별 공모를 통해 경선에 따라 선출하는 상향식 공천을 주장해왔던 김 대표의 뜻에 배치되는 것이다.
김 대표는 여야 합의 불발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가 무산된 후 이를 원형에 가깝게 실현시키기 위한 '안심번호' 제도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친박(박근혜)계의 거센 반발을 받은 바 있다.
이에 김 대표는 '당원 3 대 일반국민 7 여론조사'라는 변형된 상향식 공천제도를 지켜냈다. 하지만 공천 실무를 담당하는 공관위원장 임명에 친박계 힘에 밀렸다. 공관위원장에 임명된 이 위원장은 김 대표가 주창한 상향식 공천 원칙에 균열을 내고 있다. 전략공천 성격이 짙은 '우선·단수추천지역' 제도를 적극 활용하면서다.
이 위원장과 김 대표 간의 갈등양상은 점점 짙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그러나 새누리당의 이 같은 갈등이 깊어질수록 지지세도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위원장은 8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비례대표 선정 절차를) 다 밟아서 하면 좋겠지만 지금은 시간이 없다. 서류심사만 하기도 벅차서 우리가 원하던 방식으로는 못 한다"며 상향식 공천에 반대하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이는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준다'는 구호로 지역구는 물론 비례대표도 직역별 공모를 통해 경선에 따라 선출하는 상향식 공천을 주장해왔던 김 대표의 뜻에 배치되는 것이다.
김 대표는 여야 합의 불발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가 무산된 후 이를 원형에 가깝게 실현시키기 위한 '안심번호' 제도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친박(박근혜)계의 거센 반발을 받은 바 있다.
이에 김 대표는 '당원 3 대 일반국민 7 여론조사'라는 변형된 상향식 공천제도를 지켜냈다. 하지만 공천 실무를 담당하는 공관위원장 임명에 친박계 힘에 밀렸다. 공관위원장에 임명된 이 위원장은 김 대표가 주창한 상향식 공천 원칙에 균열을 내고 있다. 전략공천 성격이 짙은 '우선·단수추천지역' 제도를 적극 활용하면서다.
이 위원장과 김 대표 간의 갈등양상은 점점 짙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그러나 새누리당의 이 같은 갈등이 깊어질수록 지지세도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 |
새누리당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가운데)이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김무성 대표를 만난 뒤 당사로 향하고 있다. /사진=뉴스1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