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평균연령 '44.4세', 취업자 숫자 처음으로 '50세이상 > 2030'
김수정 기자
3,622
공유하기
한국 50세 이상 취업자 수가 20~30대 취업자 수를 사상 처음으로 추월했다. 근로자의 평균연령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오늘(31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50대 이상 취업자 수는 965만5000명(전체의 37.2%)으로 20~30대 취업자 수 936만9000명(36.1%)보다 28만6000명 많았다.
50대 이상 취업자 수가 20~30대를 넘어선 것은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처음이다.
2000년에는 20~30대 취업자(1063만명)가 전체 취업자의 50.2%로 50대 이상 취업자(486만명)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하지만 격차가 점차 줄어들기 시작해 지난 2014년에는 5000명까지 떨어졌고, 지난해 50대 이상 취업자 수가 20~30대 취업자 수를 처음으로 추월했다.
전체적으로 고령화 추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 증가 폭 33만7000명 중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폭이 17만2000명으로 전연령 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20대 취업자는 6만8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가장 인구가 많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정년퇴직을 하고도 노후 대비를 위해 노동시장을 떠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경기 상황이 나빠지자 기업들이 신규 채용 규모를 줄여 청년층 고용이 부진해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근로자의 평균 연령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연간 근로자 평균 연령은 44.4세로 전년보다 0.2세 올라갔다.
오늘(31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50대 이상 취업자 수는 965만5000명(전체의 37.2%)으로 20~30대 취업자 수 936만9000명(36.1%)보다 28만6000명 많았다.
50대 이상 취업자 수가 20~30대를 넘어선 것은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처음이다.
2000년에는 20~30대 취업자(1063만명)가 전체 취업자의 50.2%로 50대 이상 취업자(486만명)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하지만 격차가 점차 줄어들기 시작해 지난 2014년에는 5000명까지 떨어졌고, 지난해 50대 이상 취업자 수가 20~30대 취업자 수를 처음으로 추월했다.
전체적으로 고령화 추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 증가 폭 33만7000명 중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폭이 17만2000명으로 전연령 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20대 취업자는 6만8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가장 인구가 많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정년퇴직을 하고도 노후 대비를 위해 노동시장을 떠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경기 상황이 나빠지자 기업들이 신규 채용 규모를 줄여 청년층 고용이 부진해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근로자의 평균 연령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연간 근로자 평균 연령은 44.4세로 전년보다 0.2세 올라갔다.
![]() |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 /자료사진=뉴스1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