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뉴시스
/자료사진=뉴시스

다음달 4일 채권단과의 자율협약이 종료되는 한진해운이 25일 중대기로에 선다. 채권단이 이날까지 추가자구안 제출을 요구한 상황에서 한진그룹 측이 어떤 선택을 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한진그룹이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에 제출할 한진해운 자구안 규모는 5500억~6000억원 수준인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한진그룹은 대한항공 유상증자 등으로 4000억원까지 조달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으나, 증자 액수를 늘려 5500~6000억원을 확보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진그룹은 이미 1년여 전 대한항공 유상증자를 통해 1조원 가량을 한진해운 회생을 위해 지원했다. 이번 자구안에서도 대한항공이 추가 증자 부담을 안고 추가 지원에 나설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그럼에도 채권단이 최소 7000억원의 자구안을 요구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이날 자구안이 받아들여질지는 미지수다. 채권단은 내년 말까지 한진해운이 경영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1조원에서 1조2000억원 정도로 추산한다.


또 한진해운 지원에 대한 대한항공 주주들의 반대도 변수다. 시장에서는 대한항공이 한진해운으로 인해 올해만 4000억원 상당의 손상차손을 입은 것으로 보고 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사재출연 여부도 관심이 집중된다. 자구 규모가 채권단의 기대에 못 미치지만 사재출연이 더해질 경우 채권단이 자구안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은 올 초 현대상선을 살리기 위해 사재 300억원을 출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