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머니투데이DB
/자료사진=머니투데이DB

산업은행이 지난 25일 제출받은 한진해운 자구안에서 한진그룹의 지원규모가 4000억원수준에 그친다고 밝혔다.

정용석 산업은행 구조조정부문 부행장은 26일 오전 기자들을 만나 “한진해운 추가 자구안 검토결과 실효성 있는 것은 4000억원 수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한진해운이 제출한 추가 자구안 중 실효성 있는 방안이 4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뿐이라는 것. 한진그룹은 두 차례에 걸친 대한항공의 유상증자를 통해 4000억원 규모의 지원을 자구안에 담은 것으로 여겨진다.

자구안에는 이밖에 ‘조건부’ 1000억원 규모의 추가지원 안이 담겼다. 대한항공 유증을 통한 4000억원 지원에 채권단의 자금지원을 더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 1000억원을 더 지원 할 수 있다는 뜻.


이 밖에 한진그룹은 대한항공이 보유한 영구채 2천200억원에 대해 출자전환·기한연장을 하거나 이자율을 조정해 한진해운의 부담을 덜어주고, 미국 소재 국제 터미널의 채권 600억원을 매각하는 방안 등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산은은 한진해운 부족자금을 용선료와 선박금융 채무재조정 등을 모두 반영해 최소 1조원에서 최대 1조3000억원 수준으로 산출하고 있다. ‘조건부’ 추가지원안을 제외하면 한진해운의 정상화를 위해 9000억원의 자금을 채권단이 쏟아부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산업은행은 이날 오후 열리는 채권금융기관 실무자 회의에서 이와 같은 내용을 공유한 뒤 자율협약을 이어갈지를 묻는 안건을 부의할 계획이다. 이 안건에 대해 채권단의 지분율을 기준으로 75% 이상이 동의하지 않으면 안건은 부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