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임태훈 기자
/사진=뉴시스 임태훈 기자

한진해운에 대한 그룹차원의 600억원 지원을 촉구하는 정부의 압박이 거세진다. 한진그룹은 배임 혐의를 피해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머리를 쥐어짜고 있지만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까지 나서 한진그룹의 책임을 운운하며 압박에 나선 가운데, 전방위적 압박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우선 이번 달 마지막 주부터 시작될 예정인 국회 정무위원회 국감에서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증인으로 채택될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에 한진그룹 계열사에 대한 여신을 파악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을 두고도 뒷말이 무성하다. 금감원과 은행 측은 ‘여신 건전성 관리 차원’의 조치라는 입장이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한진그룹 측의 지원을 촉구하기 위한 압력행사로 풀이한다.

앞서 대한항공 이사회는 지난 10일 한진해운이 보유한 미국 서부 롱비치터미널 지분(54%)을 담보 받는 조건으로 600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터미널 지분을 담보받기 위해선 이미 대출을 받은 6개 해외 금융기관과 또다른 대주주인 MSC의 동의가 필요해 조기지원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600억원을 한진해운에 선지급한 뒤 담보설정 등의 방안도 제기됐지만 배임을 의식한 이사회의 반발에 부딪혔다.


대한항공은 롱비치터미널 이외에 다른담보를 설정하는 방안을 찾고 있지만 한진해운이 가진 자산 중 600억원에 대한 담보가치가 있는 자산을 찾기 힘든 상황이다. 담보물의 가치가 600억원에 미치지 못할경우에도 대한항공 경영진은 배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에 한진해운의 매출채권을 담보로 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제시된다. 하지만 회수가능성이 불투명한 매출채권을 담보로 설정할 경우 이 역시 배임에서 자유롭지는 못하다. 재계 관계자는 “한진해운의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확실한 담보를 설정하지 못하면 ‘배임’에서 자유로울 순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