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임금협상, 27차 교섭도 잠정합의 실패… 추가 파업 우려 심화
최윤신 기자
2,261
공유하기
![]() |
지난 27일 오후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본관 아반떼룸에서 올해 임금협상 26차 교섭이 열리는 가운데 노사 교섭위원들이 교섭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뉴시스 안정섭 기자 |
현대자동차 노사가 올해 임금협상에서 잠정합의를 시도했으나 결국 실패했다. 이에 따라 노조의 추가파업 우려가 심화된다.
현대차 노사는 28일 오후 3시부터 울산공장 본관 아반떼룸에서 윤갑한 사장과 박유기 노조지부장 등 노사 교섭위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7차 교섭을 개최했다.
이날 교섭에서 노사는 임금 7만원 인상 등 지난 27일 사측이 제시한 안을 토대로 접점을 찾으려 했지만 무산됐다. 교섭은 1시간30분만에 마무리됐다.회사는 지난 27일 교섭에서 임금 7만원 인상, 주간 연속 2교대 10만 포인트 지급을 골자로 한 추가 협상안을 제시했다.
노사는 당분간 교섭을 중단하고 현재 회사의 경영 상황과 쟁점인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 등을 다시 분석하는 시간을 갖기로 했다. 노조는 교섭 직후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추가 파업 여부 등을 논의 중이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금협상에서 ▲임금 15만2050원 인상(기본급 대비 7.2%·호봉승급분 제외) ▲전년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주식 포함) ▲고용안전대책위원회 구성 ▲주간 연속2교대제 8+8시간 시행에 따른 임금 보전 ▲해고자 2명 복직 ▲아산공장 신규라인 증설 ▲일반·연구직 승진 거부권 부여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서울고용노동청에서 열린 '공정인사 평가모델 발표회'에서 "정부는 조속한 시일 내에 현대차 노사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파업이 지속한다면, 우리 경제와 국민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법과 제도에 마련된 모든 방안을 강구해 파업이 조기에 마무리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장관이 말한 '법과 제도에 마련된 모든 방안'은 노동조합법에 규정된 긴급조정권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