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심하면 불량제품! 기본으로 돌아가자.”
“고객의 관점이 우리의 관점, 한 번 더 생각하고 실행하자.”

LG전자의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경기도 평택시 ‘LG 디지털파크’. 4개의 층으로 이뤄진 G2동에는 고객과 품질을 강조한 현수막이 곳곳에 걸려있다. 평택 스마트폰 공장은 월 330만대의 휴대폰이 출하되는 LG전자 스마트폰 생산의 심장부다. 지난 19일 이례적으로 공개된 LG 디지털파크를 찾았다.


◆‘5000시간’ 이상의 가혹한 품질관리

LG전자의 스마트폰 생산라인 공개는 화끈했다. 평택 디지털시티 G2동 3층 제품인정실에서 V20를 과감히 바닥에 떨어뜨렸고 미출시 된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맛보게 했다. 가혹할 정도로 품질관리에 힘을 쏟는 것을 엿볼 수 있었다.


김균흥 MC개발품질보증실 부장에 따르면 ‘고객 사용 패턴’을 중심으로 시험이 진행된다. 내구성 관련 시험은 충전, 오디오 등 모든 단자가 시험 대상이다. 고객이 비틀어 꽂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기기에 꽂는 테스트 단자도 각도를 다양하게 만들었다. 

LG전자 연구원이 V20를 바닥에 깔린 철판 위로 제품을 떨어트려 내구성 테스트를 하고있다. /사진=LG전자
LG전자 연구원이 V20를 바닥에 깔린 철판 위로 제품을 떨어트려 내구성 테스트를 하고있다. /사진=LG전자

낙하시험은 “짝!” 소리와 함께 이목을 집중시켰다. 고객의 주머니와 유사한 위치로 높이를 설정, 스틸 바닥에 떨어뜨린다. 이날 낙하시험 대상은 V20. 사이드면, 뒷면 테스트는 통과했지만 액정 부분을 바닥으로 향하게 해 2번 떨어뜨리니 액정이 손상되고 화면이 모자이크처럼 깨졌다. LG전자 측은 이러한 테스트를 수십회 반복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V20은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항공기, 요트 등에 주로 쓰이는 알루미늄과 실리콘-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채용했다.

휴대폰 수명을 점검하는 공간도 볼 수 있었다. ‘가속수명시험실’에는 삼면을 가득 채운 휴대폰의 화면이 빠르게 움직였다. 소비자가 장기간 휴대폰을 사용할 때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지를 점검하는 곳으로 AP나 메모리, 디스플레이 등 주요 부품의 성능을 한계치까지 끌어올려 테스트하도록 설계됐다.

김 부장은 “휴대폰 제품 수명이 2년이라면 실제 2년간 시험을 하는 대신 6개월 이상 이 곳에서 제품에 극한의 가속 스트레스를 주면서 2년 이상 버틸 수 있는지 시험한다”고 설명했다. 24시간 작동하는 가속수명시험실에는 미출시 된 휴대폰과 태블릿, 스마트 워치 등이 쉴 새 없이 돌아가고 있었다.

이외에도 방수시험, 분진시험, 낙하시험 등 1000여 항목의 품질 테스트가 신모델의 완성도를 책임진다. 품질 기준만 6만여개, 제품별로 약 5000시간 이상 테스트가 진행된다.


◆깐깐한 ‘최종 조립라인’, LG의 자부심 엿보여

제품인정실에 이어 찾은 곳은 4층 단말제조팀 최종 조립라인. 깐깐한 품질관리를 자랑하듯 방진가운과 풋커버를 착용하고 에어워시룸을 지나야 한다. 조립라인에 들어서면 창업주 구인회 회장이 남긴 말과 정보유출을 경고하는 안내판이 보인다.

그 옆으로 늘어선 23개의 생산라인. 각 조립라인 앞에는 직원들이 재빠른 손놀림으로 스마트폰 생산에 집중하고 있다. 최종 조립라인에서는 ▲기본 부품의 특성 검사인 ‘MITS(Multi-function Integrated Test system)’ ▲감성적 판단을 위해 사람이 직접 검사하는 ‘사용자 기능 테스트’ ▲무선감도 측정 ▲라벨 부착 ▲모바일ID 입력 등의 10여가지 공정이 진행된다. 

LG전자 직원이 공장 라인에서 'V20' 생산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사진=LG전자
LG전자 직원이 공장 라인에서 'V20' 생산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사진=LG전자

LG전자는 올해 초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서브 조립라인 8개를 추가하고 G5와 V20 생산을 전담하게 했다. 일반적으로 1개 라인에서 하루 4000여대의 스마트폰이 생산되며 모델별 생산라인 수는 매일 달라진다. 이날 가동된 V20 생산라인은 6개로 북미시장 출시를 위해 속도를 내고 있었다. LG전자 단말제조팀 김승렬 부장은 “평택 공장에서 우선 생산한 뒤 수요가 늘면 중국에서도 추가 생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방심하면 불량제품, 집중하면 고객만족’을 내걸고 공개된 LG전자 디지털파크. 스마트폰 생산의 심장부를 가감 없이 공개한 LG전자의 자부심이 곳곳에 쌓여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