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세데스-벤츠 어반 e트럭.
메르세데스-벤츠 어반 e트럭.

바야흐로 전기차시대가 가까워 온다. 정부의 적극적인 보급정책으로 최근에는 도로위에서 전기차를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게 됐다.

글로벌 환경규제가 지속적으로 강화되는 가운데 자동차업계는 가까운 시일내에 내연기관 자동차로는 환경규제를 만족시킬 수 없을 것이라 내다보고 전기차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도로위 매연의 주범으로 꼽히는 노후 경유(디젤)상용차는 여전히 도로 곳곳에 검은 연기를 내뿜고 다닌다. 정부는 지난 5월부터 노후 경유차를 폐차하도록 지원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상용차에는 실효성이 없다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전문가들은 “상용차의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규제보다 미래를 내다보고 적극적으로 친환경 상용차를 개발해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만트럭, 다임러트럭, 스카니아트럭 등 글로벌 상용차 업체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전기상용차 개발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최근 상용차 모터쇼인 독일 하노버 모터쇼(IAA2016)에서 다임러는 총중량 26톤급의 대형 순수 전기 트럭 ‘어반 e트럭’을 선보였다. 212kWh용량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주행거리가 200km에 달한다.

중소형 트럭 부문에서는 이미 다양한 순수전기차가 출시됐다. 다임러는 IAA2016에서 7.49톤급의 3세대 e칸터를 선보였다. e칸터는 이미 지난 2010년 3.5톤급 1세대 모델을 선보였고 2014년에는 6톤급 2세대 모델을 만들어 포르투갈에서 1년 간 다양한 실제 운송 조건에서 시험 운행을 실시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해외의 대형 상용차업체들은 승용차브랜드에 버금가는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 미래 자동차 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승용차와 기술 교류가 가능하고 전기상용차의 산업 규모가 큰 만큼 우리나라도 적극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상용전기차에 사활거는 대구·광주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전기상용차를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특히 대구시와 광주시는 ‘자동차산업’을 키워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는 목표아래 적극적으로 전기상용차 산업을 육성 중이다.

자동차 부품업체가 다수 포진한 대구시와 기아차 공장을 비롯해 많은 협력업체가 존재하는 광주시는 적극적으로 전기상용차 제조사를 수소문해왔다.

많은 노력 끝에 대구시는 울산지역 자동차 부품회사인 DIC를 유치했다. DIC는 대구국가산업단지의 공장에서 전기상용차를 생산할 예정이다.

또 다른 대형 전기차 프로젝트도 대구에서 진행된다. 르노삼성, LG전자와 농기계 생산업체인 대동공업이 컨소시엄을 맺고 대구에서 1톤 전기차를 생산하기로 한 것. 르노삼성의 전기차 기술과 LG전자의 배터리 기술이 결합된 전기차를 대동공업이 생산하는 형태다. 르노삼성 브랜드를 달고 르노삼성 영업망을 통해 판매된다. 이 컨소시엄은 2020년까지 한번 충전으로 250km를 주행할 수 있는 1톤 상용차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는 국내기업이 아닌 중국의 ‘조이롱 자동차’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광주시는 전기화물차 생산기반 조성을 위한 행정 업무 등을 지원하고, 조이롱자동차는 전기화물차 기술을 개발해 차량제작과 보급사업을 추진한다. 조이롱자동차는 지난달 한국법인(조이롱코리아) 설립을 완료하고 광주공장 설립을 위해 중비중이다.

◆ ‘팔 곳’ 있을까

업계에서는 대구, 광주 완성차산업의 관건은 ‘초기 판매처 확보’라고 입을 모은다. 1톤 상용차의 경우 현대 기아차의 포터와 봉고가 장악하고 있거니와 장거리 운행에서 불리한 전기차의 약점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업계는 ‘물류 사업’이 1톤 전기상용차의 초기 주요 판매처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영내에서 물류서비스를 위해 운행하는 차량의 경우 하루 운행거리가 길지 않기 때문이다.

대구시와 광주시는 이런 이유로 쿠팡과 CJ대한통운을 각각 파트너로 끌어들였다. 쿠팡의 로켓배송과 CJ대한통운의 물류차량을 통해 판매처를 확보하겠다는 심산이다.



사진= 각 시 제공.
사진= 각 시 제공.


쿠팡은 지난해 11월 대구시와 양해각서(MOU)를 맺고 대구광역시에 ‘친환경 첨단 물류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대구시 및 전기자동차 관련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기화물차량을 개발하고 개발된 전기화물차를 쿠팡의 배송 작업에 시범적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광주시는 CJ대한통운을 끌어들였다. 광주시-CJ대한통운-조이롱코리아는 지난달 3자 협약을 맺고 전기화물차 기술개발에 협력키로 했다. CJ대한통운이 자동차 생산과정 전 영역의 물류를 수행하고 차후 생산된 전기차를 택배현장에 순차적으로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사실상 물류업계가 아니면 판매처가 전무한 상황에서 MOU에 의지해 개발을 진행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다. 특히 CJ대한통운의 경우 물류차량을 지입제(운수회사에 개인차량을 등록하고 일감과 보수를 지급받는 제도)로 운영하는 상황이라 택배기사들에게 구매를 강제하지 않으면 전기상용차 대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CJ대한통운 측은 “90%의 차량은 지입제로 운영하지만 직영차량도 10%가 있다”며 “전기상용차를 구입하게 되면 직영차량부터 서서히 바꿔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