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폐쇄. 개성공단 입주기업 관계자들이 오늘(10일) 오후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비선실세 개입 의혹' 개성공단 폐쇄결정 규탄 및 피해보상 촉구 집회에서 정부를 향해 개성공단 재개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스1
개성공단 폐쇄. 개성공단 입주기업 관계자들이 오늘(10일) 오후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비선실세 개입 의혹' 개성공단 폐쇄결정 규탄 및 피해보상 촉구 집회에서 정부를 향해 개성공단 재개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스1

개성공단기업협회는 갑작스러운 개성공단 폐쇄 결정과 관련해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오늘(10일)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서울 여의도에서 '부당한 개성공단 폐쇄결정 규탄' 대회를 열고 의문을 느꼈던 갑작스러운 개성공단 폐쇄(전면중단) 결정 과정 이면에 비선의 개입이 있었다는 보도와 관련 "피해당사자 입장에서 분노와 개탄을 금할 길이 없다"고 전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수천의 기업인과 주재원의 꿈과 땀이 녹아있고 남북평화와 공동번영의 시금석, 안보의 보루, 평화통일의 마중물이었던 개성공단이 갑작스럽게 폐쇄된 이면에 비선모임의 개입이 있었다는 강한 의구심이 들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협회는 "개성공단기업들은 개성공단 폐쇄 결정에 대해 비선개입 의혹의 진상을 철저히 규명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또 법적인 요건도, 절차적 정당성도, 결과에 대한 타당성도 결여된 개성공단 폐쇄는 이제라도 재고되고 다시 열기위한 준비에 착수할 것을 간곡히 호소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오늘로 개성공단이 중단된 지 벌써 9개월째"라며 "눈덩이처럼 불어난 피해가 입주기업과 영업기업, 그 소속근로자들은 물론, 5000여 협력업체와 수만의 근로자들에게까지 확산돼 정작 책임을 져야 할 정부는 빠지고 입주기업과 협력업체의 소송으로까지 번지는 최악의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협회는 개성공단 폐쇄에 따른 피해보상에 대해서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임해줄 것을 요구했다.

협회는 "법적절차를 위배한 결정, 특히 비선실세 개입 의혹이 있는 갑작스러운 정책변경으로 억울한 피해를 입고 생존의 절벽에 선 개성기업과 협력기업들에 헌법상의 정당한 보상을 외면하고 있는 누구를 위한, 어느나라 정부인가"라며 "책임있는 정부라면 보상법이 없어 보상할 수 없다면 법을 만들어서라도 해주는 것이 마땅하지 않느냐"고 강변했다.


그러면서 "반드시 보상 특별법을 만들어 실질피해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며 "억울한 피해를 당하는 사람이 없도록 구제하는 것이 정부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이다. 우리 개성기업과 근로자 및 협력업체들의 숨통을 열어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