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머니투데이 DB
/자료사진=머니투데이 DB
뉴욕증시가 트럼프 옥석 가리기 영향으로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랠리를 지속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트럼프정부에서 수혜가 예상되는 금융과 산업업종은 급등한 반면 IT업종은 급락했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18.19포인트(1.17%) 급등한 1만8807.88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8월15일 기록했던 역대 최고치 1만8636.05를 약 3개월 만에 재경신한 셈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도 4.22포인트(0.2%) 오른 2167.48로 마감했다.


반면 나스닥종합지수는 42.88포인트(-0.81%) 하락한 5208.80으로 거래를 마쳤다. 미국의 대표 IT 기업인 ‘FANG’(Faceboo·Amazon·Netflix·Alphabet)이 모두 하락한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날 증시는 장 초반 상승세를 나타냈지만 이른바 트럼프정부에서 수혜가 예상되는 업종과 악영향이 예상되는 업종간 옥석가리기가 진행되면서 희비가 엇갈렸다.


규제 완화와 사회인프라 투자 증가에 대한 기대감으로 금융업종이 3.7% 급등했고 산업업종도 2% 올랐다. 헬스케어업종도 1.2% 상승했다.

반면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면서 금리에 민감한 유틸리티와 부동산업종은 각각 2.5%와 1.5% 하락했다. 통신과 기술업종도 각각 2.3%와 1.6% 밀렸다.